학술논문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실태 분석
이용수 995
- 영문명
- Analysis on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of Teachers According to Result of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Focused on Needs of Teacher in Daegu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전제상(Jeon, Je Sa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5권 제4호, 627~6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원능력개발평가는 2010년부터 초ㆍ중등학교에 전면 도입되면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활용을 위한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대한 현장 교원들의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요구가 무엇이고 이의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지원 요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 이래로 교직사회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었으며, 교원연수지원 운영 및 지원사항 등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구교육지역의 교원을 대상으로 총 4,811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Win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교원들의 맞춤형 연수요구는 높으나 연수지원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다양한 교원요구를 반영한 연수프로그램이 미흡하였다. 교원연수운영지원으로는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개발 지원, 미흡교원을 위한 능력향상연수 지원강화, 맞춤형 연수 시기와 홍보 강화, 교직생애별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개발, 교육청의 연수기능 전문화 및 특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service training of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on the theoretical basis, to inquire operation for the training system, and to present and an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 for the training system. The great interesting of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in 2010 has been a topic for model operation of new teacher's evaluation system in Korea.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survey questionnaire of 3 category were developed for distribution to subjects. 4,811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to teacher and educational supervisors, and treated for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using SPSSWIN. Also, it was shared among those teachers that a new in-service train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which would promote teachers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requires analysis for teacher should be shared among trainees and staffs in training centers. The new teacher's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will sharply expand the teacher-made in-service training. This study should be operated voluntarily and converted into various training for field experiences, major in-service training rating agencies, a customized education suited to in-service training, the program of specialization and specialization for in-service training teacher system according to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Follow-Up Study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IRT Proficiency Estimates
- The Impact of Unequal Sample Sizes on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교사의 학생평가와 성취평가제
- DINA 모형에 의한 인지요소숙달 추정 방법간 비교 및 초등학생의 인지요소숙달 변화
-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성취수준 설정에서의 오차분석과 최적 조건 탐색
-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실태 분석
- 선형 잠재성장모형 모수의 추정에 대한 오차 공분산행렬 적용의 영향력 검토
- 종단자료에서의 측정 동등성 평가를 위한 LCFA와 DIF 기법의 적용
-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한 Raven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 지능검사의 타당화
- Lord 변환식의 3모수 IRT 문항모수 복원력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 교사평가의 쟁점과 질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