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평가의 쟁점과 질적 분석
이용수 1,913
- 영문명
- The Issu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ree types of Teacher 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권순달(Soon-Dal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5권 제4호, 605~6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2년 9월 25일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개정을 근거로 실시되는 교사대상 교원능력개발평가와 기존의 근무성적평정, 교원성과상여금평가를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원평가 세 유형의 비교를 위하여 평가의 과정, 즉 평가 목적, 평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결과 및 활용을 준거로 설정하였다. 세 유형의 교사평가 법적 근거 규정을 비교하고, 공립 초ㆍ중등학교 교사를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삼각기법(triangulation)으로 면담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사(승진 또는 전보) 자료로 활용되는 근무성적평정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사립학교 교사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에 관계없이 세 유형의 교원평가 평가 목적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나, 당위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평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 및 수업 지도, 생활 지도, 업무(책무)등은 공통의 요소로 포함되어 있었다. 평가 방법에서 특히 경력 교사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다면평가-학부모-에 불신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 결과 및 활용에서 경력에 관계없이 교사들이 교원성과상여금평가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근무성적평정과 교원성과상여금평가 결과 활용에 불만이 많았다. 평가 내용이 중복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교사평가를 실시하는 것보다 평가 기준을 달리하여 평가 결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세 유형의 교원평가를 통합한 새로운 교사평가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ree types of teacher evaluation which have been applied in all schools in Korea. They are the Teacher Appraisal for Performance, the Performance-based Incentive System, and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three newly appointed teachers and three career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y consists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wo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The criteria of the comparison were the goal, content, method, and use of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s of three types of teacher evaluations were different. The comparison of contents on the other hand, showed some similarities. Second, all teachers were fully aware of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teacher evaluation. However, they had doubts in regards to the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and believed that the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of teachers.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 new approach to teacher evaluation is crucial to a more integrated and improved system in the future.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Follow-Up Study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IRT Proficiency Estimates
- The Impact of Unequal Sample Sizes on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교사의 학생평가와 성취평가제
- DINA 모형에 의한 인지요소숙달 추정 방법간 비교 및 초등학생의 인지요소숙달 변화
-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성취수준 설정에서의 오차분석과 최적 조건 탐색
-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따른 맞춤형 교원연수 운영 지원 실태 분석
- 선형 잠재성장모형 모수의 추정에 대한 오차 공분산행렬 적용의 영향력 검토
- 종단자료에서의 측정 동등성 평가를 위한 LCFA와 DIF 기법의 적용
- Rasch 측정모형을 이용한 Raven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 지능검사의 타당화
- Lord 변환식의 3모수 IRT 문항모수 복원력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 교사평가의 쟁점과 질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