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에서 학습경험 탐색

이용수  2,245

영문명
Exploring learning experiences of married couples in the early stage of matrimony: A grounded theory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한별(Hanbyul Kim)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4輯,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갈등을 접하는 결혼 초기의 부부가 적응해가는 과정을 탐색하고, 부부 적응과정이 학습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결혼기간 3년 이내의 남녀 성인 7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의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래서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론적 모형을 정리하고, 부부 적응과정에 내포되어 있는 학습경험으로서 의미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은 개인의 성찰이라는 인지적 과정, 감정적 공감과 지지를 필요로 하는 정서적 과정,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문화적 가치에 조응하는 사회적 과정이 상호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험학습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배우자, 자기 자신, 그리고 결혼에 대한 관점이 유연하고 수용적인 형태로, 또한 보다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성격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부부 갈등의 경험을 통한 학습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은 진정한 "배우자(spouse)"라는 정체성을 획득하는 상황학습의 과정이다. 진정한 배우자가 된다는 것은 자신의 구체적인 결혼생활 상황에서 독특하게 기대되는 배우자 역할을 실제로 감당하는 존재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체성의 획득은 이들이 모종의 교육과 훈련의 객체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구체적인 결혼 생활 현실, 즉 상황에 적합한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주도적인 실천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변화과정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ing experiences of married couples within the marital adjustment.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particularly, a grounded theory approach, seven in-depth interviews with husbands and wives who have been married for no more than three year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tical procedure and the paradigm that guide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comprises three reciprocal stages of discovery, interaction, and recovery. By going through these stages, newly married couples have been adapted to each other, and had learning experiences. Findings suggest that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as a learning process is composed of three activities: reflect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empathy seeking. These learning activities has constantly taken place during the stages of discovery, interaction, and recovery. Furthermore, the process has a meaning of a situated learning resulting in identity construction. In this sense, the findings show that, as a result of such an adjustment process, married couples have gradually become genuine “spouse”, which is conceptualized as constructing identity.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
Ⅴ. 결혼초기 부부의 학습경험: 부부 적응에 대한 평생학습 차원의 논의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별(Hanbyul Kim). (2012).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에서 학습경험 탐색. 교육문제연구, 44 , 1-35

MLA

김한별(Hanbyul Kim). "결혼초기 부부의 적응과정에서 학습경험 탐색." 교육문제연구, 44.(2012):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