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란 國家祭儀의 샤머니즘적 성격에 관한 試論

이용수  768

영문명
A Study of the Shamanistic Features in National Rituals of Kitan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인숙(Lee, In-Suk) 복기대(Bok, Gi-Da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3號, 107~1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거란은 10세기 초 나라를 세우기 전까지 500년이 넘는 오랜 부족연맹 시기를 거치는 동안 수많은 북방 종족과 이합집산을 거듭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매우 다양한 문화의 이입과 융합으로 이어졌는데, 그 근간에는 북아시아에 광범 위하게 전승되어온 샤머니즘 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북아시아에서 샤머니즘은 흉노 이래 유목종족들에게 널리 퍼져 있던 공통의 인식체계 또는 사상을 의미했다. 따라서 거란 문화에 보이는 다양한 문화요소의 공존은 샤머니즘에 기초한 전통적 인식체계를 바탕 삼고 복속한 여타 민족의 문화를 부단히 흡수, 통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 때문에 거란은 건국 초 통치체제에 샤머니즘을 대폭 수용하였고, 다양한 종족 유입에 따른 다종족 사회를 통합하고 동질성을 확보하는 장치로 샤머니즘을 활용할 수 있었다. 나아가 문화적으로 매우 개방적이면서도 자주성 강한 나라를 구현하였다. 거란은 건국 후에도 샤머니즘에 근간을 둔 전통사상과 문화를 유지하여 중원 문화를 대폭 수용했음에도 거란 사회에는 신앙과 제의, 사회제도, 민간의 삶에 이르기까지 샤머니즘적 요소가 뚜렷하다. 건국 후 거란 샤머니즘은 국가제의에서 두드러지는데, 거란의 전통 제의는 유목사회의 경험과 그로부터 파생한 관념들을 상징화한 북방민족들의 제의를 충실히 계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요사(遼史)』에 전하는 거란의 제의와 민속은 돌궐의 유습 및 불교, 도교, 유교와 서방으로부터 전래되어 들어온 조로아스터교, 마니교의 문화요소가 샤머니즘의 토대에서 어떤 모습으로 수용, 융합되어갔는지 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모델이 된다. 이는 자연히 8-12세기 북아시아의 사상적 흐름을 쫓는데 많은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흉노 이래 북아시아 유목민족들에게 널리 전승되어온 샤머니즘적 인식체계가 어떻게 전통사상으로서 계승되었는지도 역으로 추적해 올라갈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거란 샤머니즘은 몽골 샤머니즘과 공통점이 많다고 평가되는데, 이는 중앙아시아와 동북아시아의 제문화요소가 거란 때 한번 크게 통합, 정리되어 몽골로 이양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달리 말해 거란이 흉노로부터 오환, 선비, 타브가치, 여여, 돌궐, 위구르로 이어진 북방민족사의 한 맥을 이었고, 거란문화에 계승된 북아시아 유목민족들의 문화를 잘 보존하여 후대 몽골로 전달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거란과 고구려, 발해의 역사적 관계를 고려할때 고구려와 발해 문화의 거란 유입도 빼놓을 수 없다. 거란에 이르러 계통이 다른 북아시아와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민족들의 문화를 하나로 엮을 수 있었던 공통분모이자 사상적 기반은 샤머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거란이 샤머니즘을 전통 사상으로 하여 출발한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거란 샤머니즘의 또 다른 의미는 부침이 극심했던 북방민족의 역사에서 이들의 문화를 자신의 문화로 흡수하고 정체성을 부여하여 유구한 문화유산으로서 금과 원, 청에 이어지도록 그 기반을 탄탄히 마련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오늘날 역으로 고대 유라시아를 무대로 폭넓게 이동하며 삶을 꾸려간 수많은 종족의 문화를 동질성을 갖는 하나의 문화권으로 묶어내는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Kitan culture had evolved over the course of centuries, influenced by both conflict and cultural interaction with their neighbors, both nomadic and sedentary before they established the Liao Dynasty in the early 10th century.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evitably led to blending of diverse cultures, based on shamanism. In North Asia, shamanism was an idea widely received among nomadic peoples ever since Xiongnu period. Therefore Liao dynasty adopted shamanism to rule over the empire and to unify diverse ethnic groups. This made Kitan to be a culturally flexible and independent society. After founding dynasty, the Kitan made a conscious effort to retain their own tribal rites. Despite of assimilating into the Chinese culture, according to Lioshi, Kitan society still revealed distinct shamanistic traditions in beliefs, rituals, customs, social system, and daily lives of people. Features of Kitan shamanism were prominent in rituals which substantially inherited cultural traditions of northern tribal groups. These rituals expressed the experiences and notions of nomadic societies. Many aspects of Kitan rituals and ceremonies reveal how Buddhism, Daoism, Zoroastrianism, and Manicheism were fused with shamanistic practices. And as is expected, they are good references to follow the flow of central ideas from 8th to 12th century in North Asia. Also we can find a clue to trace how shamanistic practices and thoughts were established as traditional notions in North Asia. Kitan succeed to cultural heritage of steppe peoples such as Xiongnu, Wuhuan, Xianbei, Tabgach, Rouran, Uyghurs, and Turks. Likewise cultural influences of Goguryeo and Balhae were important. It is often said that Mongol shamanism shares many similarities with that of Kitan. Because all these nomadic heritage were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whole at the age of Kitan, and was handed down to Mongol. In conclusion, shamanism embraced a wide range of northern cultures and had the leading role in sharing a common heritage in North Asi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거란 國家祭儀의 샤머니즘적 요소와 그 의미
Ⅲ.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숙(Lee, In-Suk),복기대(Bok, Gi-Dae). (2012).거란 國家祭儀의 샤머니즘적 성격에 관한 試論. 백산학보, (93), 107-140

MLA

이인숙(Lee, In-Suk),복기대(Bok, Gi-Dae). "거란 國家祭儀의 샤머니즘적 성격에 관한 試論." 백산학보, .93(2012): 10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