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百濟의 瑞祥과 王權

이용수  436

영문명
Auspicious things and royal authority in the period of Baekj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신정훈(Shin, jung-ho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3號, 67~10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三國史記』 百濟本紀에는 瑞祥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상은 왕자의 盛德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논문은 백제의 서상을 분석하였다. 서상을 통해 백제의 정치를 구분할 수 있다. 백제에서 서상기록은 주로 漢城時代에 집중되어있다. 溫祚王代에 5회의 서상기록이 나타난다. 백제왕들 중 가장 많은 서상이 나타난 온조왕대에 서상으로 대변되는 왕권이 성장하고 있었다. 이어 古爾王代에 서상이 4회가 보인다. 고이왕대에는 백제에서 일련의 제도와 문물에 관한 정비가 이루어졌다. 한성시대에 온조왕 • 고이왕을 제외하고는 서상기록이 간헐적으로 보인다. 이로 보아, 한성시대의 백제는 전체적으로 왕권이 강력하게 지속되지 못했다. 백제는 蓋鹵王代에 고구려의 남하로 수도인 한성을 잃었다. 그 후 熊津과 泗沘를 도읍으로 한 시대가 전개되었다. 이 시대에는 東城王代만 예외적으로 서상기록들이 보인다. 그러나 동성왕대에 시도된 왕권강화는 동성왕의 시해로 실패했다고 보여 진다. 동성왕 이후 웅진과 사비시기의 역대 백제왕들은 일체의 서상기록이 없다. 서상으로 보아, 백제의 왕권은 한성에 있을 때와 비교해, 웅진과 사비로 천도한 이후에 급격하게 약화되었다. 서상 기록으로 보아, 백제의 정치는 한성시기와 천도한 이후인 웅진과 사비시기로 나누어진다.

영문 초록

Auspicious things which indicated the royal virtues of the prince were shown in the period of Baekje. In fact, auspicious phenomena were written in 『Samguksagi』and the phenomena in the period of Baekje were interrelated with the royal authority. It is noticed that auspicious things in Baekje were found in the time of King Onjo, King Goi intensively. During the period, auspicious things were used to reflect the establishment of sovereign power. Except King Onjo and King Goi, auspicious things were found in the time of the other kings in Hansung period intermittently. In the time of King Gaero, Baekje lost Hansung, the capital city of the nation by the attack of Goguryo. Then Baekje moved the national capital city from Hansung to Wungjin and Sabi. King Dongsung was only monarch who could find auspicious things in Wungjin and Sabthe period. But There were many natural calamities in the years of king Dongsung. These phenomena were connected with the lack of virtue of a ruler. These natural calam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confusion too. There were no auspicious things could be found except the time of King Dongsung in Wungjin and Sabi period. This means that the decline in the sovereign power in those days. The collapsing of the sovereign power could indicated the strengthen of the influence of nobility. Eventually those phenomena made Baekje lose her strength. In conclusion, auspicious things in Baekje were related to the royal authority. There were two different eras in political situation of Baekje. The first era was in Hansung period and the second era was in Wungjin and Sabi perio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백제의 서상과 정치적 의미
Ⅲ. 백제의 서상에 대한 해석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정훈(Shin, jung-hoon). (2012).百濟의 瑞祥과 王權. 백산학보, (93), 67-105

MLA

신정훈(Shin, jung-hoon). "百濟의 瑞祥과 王權." 백산학보, .93(2012): 67-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