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중서부 지방의 청동기시대 시기구분 시론

이용수  864

영문명
Bronze Age Phase Division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A study of phase division on the basis of pottery types and house shapes using Bayesian modelling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선우(Kim, Sunwoo)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3號, 23~6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의 청동기시대 지석묘 연구는, 매장유적으로서의 지석묘 자체 분석을 통한 당시 사회정치적 측면의 규명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따라서, 지석묘가 생활유적으로서의 주거지와의 관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대규모 발굴의 증가와 발굴자료의 축적으로 인해, 청동기시대를 종합적·통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따라서, 지금까지 축적된 서울·인천·경기도 지역의 지석묘와 주거지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인들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 유추·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을 위한 첫 단계 작업으로, 지석묘로부터의 빈약한 절대연대 측정치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석묘의 물질문화(material culture)와 유사한 유물복합체가 공반되는 주거지들의 방사성탄소 연대값을 이용하여 청동기시대 시기구분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즉, 한반도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유형(이중구연단사선문 토기, 공렬토기, 구순각목토기, 흔암리식토기, 적색마연토기)과 주거지 형태(세장방형, 장방형, 방형)와 관련된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들을 확인하여, 각각 베이지안 모델링(Bayesian modelling) 분석을 시도한 후, 95%의 확률범위에 해당하는 시작과 마침 연대를 구하여, 연구대상 지역의 토기형식별, 그리고 주거지 형태별 사용 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중서부지역에서 토기형태의 경우, 적색마연토기만이 중기 경에 등장하였고, 이를 제외한 네 형식의 토기들은 청동기시대 전기에 등장하여 후기까지 거의 전시기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보여지며, 토기형식만을 가지고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주거지 형태의 경우, 세장방형이 전기에 가장 먼저 등장하고, 연이어, 장방형이 전기와 중기 사이에 등장하여, 두 형식은 후기 이후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방형의 경우는 중기에 등장하여 후기까지 사용되는 비교적 한정된 사용범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한반도 중서부 지역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을 위해서는, 토기 유형의 결과와 주거지 형태의 결과가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hase division of the Bronze Age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g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s and monuments in this region. Due to the paucity of 14C dating from dolmens,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settlements that share similar material cultures with associated monuments. Bayesian modelling is applied to establish the chronology of the five main pottery types of the Bronze Age in this region: pottery with a double rim with slanting lines, pottery with a perforated rim, pottery with a notched rim, Heunamri type pottery, and red-burnished ware and the specific chronologies of the three different house shapes: thin-rectangular, rectangular, and square represented in the study area. Through several steps, a total of 72 radiocarbon determinations from 16 settlements in the research area were established. Bayesian modelling takes into consideration prior information in order to obtain more probable outcome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duration. Therefore, a series of radiocarbon determinations allotted to a phase of activity are presented with a modelled ‘start’ and ‘end’ dates and use spans.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the old wood effect, ‘charcoal outlier analysis’ in OxCal 4.1 was applied as required. Firstly, in order to identify the overall span of Bronze Age activity in the study area, 72 radiocarbon determinations were taken as a unit and Bayesian modelling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use of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study area commenced within the period 1390-1127 BC (95.4% probability), and ended 370-242 BC (95.4% probability), spanning between 833 and 1133 years (95.4% probability). Secondly, Bayesian modelling was conducted for the five pottery types in the study area, treating the radiocarbon determinations from settlements of each pottery type as a single phase of activity.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divide the Bronze Age in terms of pottery types, due to the fact that the four types of pottery appear to have been used contemporaneously, with the exception, that the emergence of red-burnished pottery was to some extent later that the other types (refer to Figure 5). The chronological models of the five pottery types did not provide an appropriate framework for marking the divisions of the Early, Middle and Late Bronze Ages. Therefore in an attempt to form a chronology thin-rectangular, rectangular and square house shap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in-rectangular shaped houses were likely to have developed from the Early Bronze Age and square shaped houses probably appeared from the Middle Bronze Age. Rectangular shape houses seemed to have appeared between the Early and the Middle Bronze Age (refer to Figure 20). Therefore, for the phase division of Bronze Age in this region, if pottery types and house shapes were consider together, it could be possible to roughly identify the Middle Bronze Age period. However, in order to identify the Late period,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Late period pottery types, such as, pottery with clay stripes, hard pottery, which were fired at temperatures of between 700-850°C and vessels with imprinted design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방법론
Ⅲ. 분석자료
Ⅳ. 분석결과
Ⅴ. 결과해석 및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우(Kim, Sunwoo). (2012).한반도 중서부 지방의 청동기시대 시기구분 시론. 백산학보, (93), 23-65

MLA

김선우(Kim, Sunwoo). "한반도 중서부 지방의 청동기시대 시기구분 시론." 백산학보, .93(2012): 2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