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자의 공간 사상을 통한 전통 공간 연구
이용수 519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by Lao-tzu’s Space Theory - Focused on the Idleness Naturalism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김지은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2 no.2, 45~5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노자 사상은 동양의 공간개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본 틀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노자는 ‘자연(自然)’에 대해 천착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도법자연(道法自然), 즉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 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도(道)는 인위(人爲)가 아닌 항상 스스로 그러한 ‘무위(無爲)’로서 어떤 의지나 목적이 없다.
무엇보다 노자는 공간철학자이다. 그의 도에 관한 특성들은 공간에 관한 개념들로 가득하다. 가득 차 있으면서도 비어있는 공간이란 모든 존재들이 유(有)와 무(無)로 혼(混) 즉, 섞여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유무상생(有無相生)’의 공간은 어떤 특정하고 구체적인 모습이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 전이될 수 있는 모습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다. 또한 살아 생동하는 생명성과 계속해서 변화하는 다양성을 지닌 ‘황홀(恍惚)’한 공간이다. 본고에서는 노자의 공간 특성을 도(道)의 기능과 역할에서 찾아 해석하였다. 이는 의식적 노력이 아닌 무위(無爲)의 방법으로 이를 수 있으며 노자의 궁극적 도달점인 ‘무위자연(無爲自然)’의 공간은 펼연적으로 아름다울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노자의 철학적 사유가 구체적인 예술적 매개물로 구현되어 그 속에서 삶을 즐길 수 있는 예술 공간으로의 가능석이 모색된다.
영문 초록
Lao-tzu’s idea is one of the basic for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pace in the oriental world. It is the philosophy that is based on the “nature." As we can understand from the saying of “Tao follows nature", Tao is not artificial but something naturally existing, which does not have any will or purpose.
Above all, Lao-tzu is a space philosopher. His theory of Tao is full of concepts about space. Space that is full and empty at the same time is the space of “mixture", where everything is mixed by “being" and “non-being". This kind of space has the possibility to be changed into something with different figure, not something with certain concreteness. And it is the ecstatic space that has the vitality which is alive and moving, and the variety which keeps on changing.
This paper has analyzed Lao-tzu’s space property as an unlimited whole space by these function and role of Tao. The space can be reached by doing nothing, not by being aware to try to do anything. We have drawn a conclusion that Lao-tzu’s ultimated estination of “Idleness Naturalism” is inevitably beautilul. Lao-tzu’s philosophical thinking is embodied into a specific artistic media, and you can find that it can be the artistic space where we can enjoy life within.
목차
요약
Abstract
1. 들어가는 말
2. 자연에 대한 노자의 태도
3.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과 공간
4. 무위자연(無爲自然)의 공간 - 전통 건축 사례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