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일 원림건축을 통해 본 자연주의 건축 연구
이용수 425
- 영문명
- A Study on Naturalism Architecture of Garden Architecture through the Korean, Chinese and Japan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김상협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2 no.2, 31~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의 건축물들은 개발이라는 논리 하에 자연을 훼손해 가면서 자연과의 조화로움을 잃어 왔었다. 또한 무분별한 소비와 낭비의 문화를 가져온 자본주의의 철학은 자연환경의 파괴로 인한 인간 거주환경의 악화라는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건축의 분야에 있어서도 환경과 인간과 자연을 생각하는 건축들이 꾸준히 논의 되어왔다. 그 과정에서 인간과 자연을 분리된 각각의 독립체로 생각했었던 서양철학의 사고에 의한 방안들은 자연과의 조화라는 문제해결 방법에 있어 그리 뚜렷한 결과를 내보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우리 한국의 고전철학과 그에 기초한 자연관의 형성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본으로 삼아 나아가 디자인이나 건물 시공에 있어 보다 환경적이며 인간적, 자연적인 건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 무엇일까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e buildings of today damaged a nature under the logic which is a development they went and with nature they
harmonized and they lost and they came. Also with consuming which is insensitive the philosophy of the capitalism which brings the culture of waste caused the problem point which is a deterioration of the human dwelling environment which is caused by with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According to him was made to say a preservation and the artificial flower about nature from the various place and, there were they came various plans and discussion. The research which sees leads and the formation of bitter fight philosophy of our Korea and the view of nature which establishes in him probably is how, investigates. This makes in basic and further there is to a design or building space-time and is more environmental and will can make the building which is human and natural and the ability will be what is the goal examin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한·중·일 철학사상과 자연관
3. 한·중·일의 원림건축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