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의 상택지, 이운지, 섬용지 부분 참고 문헌 특성
이용수 417
- 영문명
- Characteristic of Yi Wun Ji, Sang Tack Ji, Sum Yong Ji; the references from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Lee Min Zheng Shu Ya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2 no.1, 43~5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헌 저술 시, ‘참고(參考)를 한다는 것’은 저자의 판단 아래, 모범과 당위성을 확보한다는 전제가 있이다. 이 때문에 참고 문헌 자체는 저자의 사상과 당시 시대적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본 논문은 디자인 분야에서 재해석되는 고문헌의 전통 문화를 차용하기에 앞서 조선 후기 대표 문헌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참고된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담긴 특성을 인식하고자 하는 사전 작업이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고문헌에 대한 관심 증가와 응용 활동이 다양하게 전개됨에 따라 조선 후기에 저술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의 활용도 역시 상당하다. <임원경제지>는 사회, 문화, 식생, 건축 등 내용의 범위가 총체적이고, 농민에서부터 상류 문인에 이르기까지 적용 대상을 확장하여 독자의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그 목적성이 단순한 백과사전식 기술 전수형 농서를 넘어 문인의 품위 있는 생활 유지를 위한 지침서로까지 확장된 성향을 갖고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성향을 토대로, 본 논고는 <임원경제지>의 16항목 가운데 공간 디자인과 관련이 깊은 상택지(相宅志), 이운지(怡雲志), 섬용지(贍用志) 부분의 참고 문헌 성격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문인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본다. <임원경제지>의 참고 문헌을 살펴봄으로써 내용의 원류 및 수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문화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갖는 컨텐츠(Contents) 개발 발전에 있어 좀 더 정제된 시선과 관점으로 조선 후기 문화상 이해에 일조할 수 었다.
영문 초록
Design for, the 21st century must place more stress on cultural and emotional aspects, and more over should create a new social value through integration between other fields of study. In order to meet such demand of times, afield study of design is in a progress of paying more attention to ancient literatures and is finding ways to apply them. To illustrate such movement in the design field, we would be taking a close look at one of the ancient records named compiled by SEO, Yoo-Goo in the late Cho-sun era. was written in a diverse level, including social, cultural, lifestyle and architectural contents. targeted wide range of readers (from the upper class intellectuals down to the lower class family) and therefore the book was not only an encyclopedia which had a purpose of simply recording technical knowledge of rural life but also was equipped with a characteristic of an ‘ethical yardstick’ guiding the readers to live a decent and moral life. This paper will thoroughly explore, reorganize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records, particularly Sang Tack Ji, Yi Wun Ji, Sum Yong Ji out of the 16-Volumes of . Under the writer’s judgemental decision, the mentioned records will be solely used as a reference to picture a clear image of Cho-sun intellectual’s ideological concept and awareness of the historical era. Thus, it would be easy to grasp the basic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 Furthermore, it would allow the readers to figure out possible contents that wouI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generation’s cultural identity and help them to carry out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cuItural concepts in the late Cho-sun era.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고문헌 이해 필요와 가치
2. 풍석 서유구(楓石 徐有矩) - 인물과 가치관
3. 임원 경제지의 성향과 활용도
4. 참고 문헌의 사용도와 그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