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작(符作)으로서의 장신구 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A Study on Jewelry Used As Amulets - Based on Cases of Studies for Development of Jewelry to Wish for Passing Exams-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정진규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2 no.1, 31~4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능력시험, 각종고시, 자격증 시험 등 우리는 크고 작은 시험을 앞두고 심리적 부담감과 스트레스로 인하여 정신적 위기 심리상태에 놓이기 쉽다. 우리 주위에는 수험생들을 위해 다양한 합격기원 상품들이 선보이고 있지만, 장신구의 경우에는 디자인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상품보다는 기존의 상품에 단순히 의미만을 부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합격기원 장신구의 체계적 개발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며, 이를 위해 디자인의 단계에서부터 부작적 의미를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신구가 심리적 안정감을 도울 수 있다는 부분은 앞으로 여러 가지 정확한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확인해야 될 점이며, 이를 위해 향후 추가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We are easily placed on a state of mental crisis due to psychological burden and stress facing big and small exams such as Scholastic Ability Test, various state examinations and exams for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etc. Although various types of merchandises to wish for passing exams are being displayed around us for examiness, most jewelry have simply given significance to existing merchandises rather than having completeness in their design. Therefore, a systematic development of jewelry to wish for passing exams is the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mmediately while various forms of products would have to be developed and sold by applying the amulet-oriented significance from the designing stage to make this possible. Also, the aspect that accessories can be helpful for mental stability is something that would have to be verified through coIlection and analysis of various types of accurate data while the additional research would have to be steadily performed to make this possible.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부작(符作) 장신구의 이론적 배경
3. 현대인의 염원과 불안감
4. 합격기원 장신구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