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아시아 3국의 공통 식사도구의 전파ㆍ수용 및 변화에 대하여
이용수 2,251
- 영문명
- About the propagation, reception and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 meal instrument of East Asian three countries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정미선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1 no.1, 50~7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아시아의 한 · 중 · 일 3국은 오랫동안 상호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통적 문화를 형성해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3국의 공통된 식사도구인 젓가락을 중심으로, 각 국의 전통적인 관습에 따른 식사문화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새롭게 변화되는 국제화 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식사도구와 식생활 환경을 제안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현재, 3국의 식사문화를 비교해 보면, 중국에서는 젓가락을 주요 식사도구로 렝게(숟가락의 변형)와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을 세트로 병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젓가락 만을 사용하는 식사문화가 형성되었다. 일반적으로는 동아시아권 역사 및 문화적인 배경의 공통적인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한, 중, 일 삼국이 젓가락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유사한 식사 문화를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각 국의 식생활 환경에는 차별화 된 특정이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젓가락 사용에 상이점은 무엇인지와 어떠한 배경이 원인이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를 동아시아 3국의 젓가락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문화적 요인과 배경 등을 출토품, 문헌 및 벽화 등을 통하여 고찰.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3국의 식생활 환경의 차이점을 인지하고 젓가락의 시대별 디자인 및 기능상의 특징 및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고 새로운 국제화 시대의 식사도구 및 식생활 환경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three main countries in Northeast Asia region, China, South Korea, and Japan had established their cultures by having a close connection between one anoth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eature of traditional gastronomic culture especially focusing on chopsticks, which
was the most common tool for eating for the three countries, and to propose a new food environment suitable 10 our new era. Currenlly, Chinese people use chopslick along wilh Renge which is a Iype of spoon. Korean people use chopsticks along wilh a spoon. However, in Japan, mosl of people use just chopsticks.
Although thesese three counlries may look 10 have a similar food life cullure by using the same chopsticks, it
may be distinctive by having a food or environmental difference. Then, we will be able to analyze why the
distinction occurred and know the birth of the use of chopsticks by looking at the literatures, excavated articles, and wall paintings and so forth.
Throughout this research, we will analyze the historical change of chopsticks and focus on the difference of their food culture. It could be the basic materials for comparing the features, functions, and research for future modeling of chopsticks. Also, it could be the basis for proposing a new food tools and new food environment for our global.
목차
요약
Abstract
서문
1. 중국의 젓가락 탄생과 확립
2. 한국에서 젓가락의 수용과 변용
3. 일본의 젓가락의 수용과 변용
끝맺음
그림(図版)의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