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5-19世紀 중·한 가구 形態 美學 硏究
이용수 74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Conformation Aesthetics of Korean Chinese Furniture In 15th-19th Centuries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劉鐵軍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1 no.1,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구를 예술의 한 부류로 여긴다면 가구형식이 주는 감각상의 유쾌함과 즐거움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 가구는 실용성(實用性)이란 기본적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시대적 관념을 반영하는 매개물(媒介物)이기에 미적형식 창조에 있어서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이 밖에 가구는 또 보편적인 사회적 의의를 구비하고 있어 점차 가구의 예술 형식에 대한 의미(意味)와 형태미(形態美)란 원칙에서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다시 말하면, 가구는 각 문화권(文化圈) 및 역사단계에서 모든 예술 관념 과 실천원칙을 가지고 있었다.
영문 초록
When we regard furniture as an art, what we care about is not only the sensory pleasure brought about by the furniture form. Besides its basic practicability, furniture is also a carrier of ideas, and hence it is related
to the creation of esthetical forms. At the same time. ideas with general social significance tend to choose the
furniture as their practical carrier. becoming gradually mature in the connotations of artistic forms of the
furniture and in the principle of beauty in form, and exerting a wide influence power. So to speak, different
cultural circles and different historic stages have their own furniture art ideas and practicing principl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가구의 음양 미
3. 가구의 구성 미
4. 선(線)의 미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