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Human Right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鄭永和(JUNG, Young Hoa)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7卷 第3號, 111~14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기업이 가진 영향력과 세력은 개별 국가의 능력을 압도하고 있다. 초국적 기업의 경제력은 국가공권력과 대등하게 되었고, 때문에 기업의 우월성은 종업원과 소비자 및 주주 등의 다수의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권리와 충돌하거나 또는 그들의 인권을 침해할 우려가 높아졌다. 국제사회는 초국적기업의 경영자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주장은 기업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기본권 보호를 사회적 책임으로 자의적으로 해석한다. 그런데 기업의 기본권존중은 ‘사회적 책임’이란 불명료하고 모호한 개념에서 파생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권의 제3자 효력이 헌법적 근거에 기초한다.
헌법학계는 기본권의 제3자 효력에 관하여 간접적용설(통설)을 제시하지만, 재판실무는 기본권의 적용문제를 민사법 해석에 그치고 있다. 필자는 기업과 개인 사이의 기본권의 제3자 효력에 대하여 개별적ㆍ구체적 적용을 제시한다. 만약 사인간의 법률행위 또는 사실행위가 강행규정인 헌법의 기본권에 위반되는 경우에, 당연한 원칙으로 전자는 무효로 또 후자는 손해배상책임으로 귀결된다. 따라서 법관도 민사재판에 있어서 당연히 헌법의 기본권을 존중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전통적으로 인권법의 기능은 ‘피해자구제’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기업은 이해관계자의 안전권과 평등권 및 노동기본권을 보호범위로 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Corporate have been overwhelmed state’s ability in terms of its influence and power in recent. The economic power of the supernational corporation has been equivalent to the national public authorities, because those shareholders, and employees and consumers’ rights and interests have a serious conflict with corporate’s interest or its violation of their human rights has been increased further concerns in due to the superiority of such an enterprise.
The CEO of transnational corporations has been paid i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y international communities. However, such claims are not only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dual nature of modern comporate, but also corporate's social responsibility is referred to as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in arbitrary interpretation.
But corporate’s respect of constitutional human rights can not be derived from’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e’ as obscure and ambiguous concept, but the third party effect of human rights is on the basis of constitutional law. Judge shall also respect to a constitutional human right in the civil trial. Because the function of human right law has been paid intention to the victim remedy-approach in tradition. Thus corporate can define a security right, an equal right and a labor right within the scope of stakeholder’s prote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업의 본질과 인권보호의 헌법적 의의
Ⅲ. 기업의 인권보호의 헌법적 효력범위
Ⅳ.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권 보호의무 및 보호범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