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trictions on the Employment of Ex-officials of the Executive Branch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송기춘(Ki-Choon Song)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7卷 第3號, 209~24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직자윤리법 제17조 등에서는 일정 직급 이상의 공무원이 퇴직 후 일정기관에 취업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른바 전관예우의 폐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물론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승인에 의해서는 취업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공무원의 퇴직 후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 아닌지 문제가 제기된다. 취업 승인제도가 있으므로 퇴직후 취업을 전면 금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공무상 지득한 비밀유지의무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목적 이외에까지 취업이 금지될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위헌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따라서 퇴직후 취업 자체를 제한하기보다는 퇴직 후 이전 근무처의 공무원을 상대로 특정 사항에 관하여 특정인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하여 하는 활동(로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관예우의 본질은 퇴직자의 문제라기보다는 현직 공무원이 자신의 직위를 이용하여 부정한 이익을 취하기 위한 행위라는 점에서 현직 공무원의 윤리 또는 법률 위반의 문제로 접근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e Art. 17 of the Ethics of Government Act prohibits the ex-officials of the government to be employed to some corporations within a period after their resignation. It needs the approval of the Committee of the Ethics of Government to be employed to the corporations. Of course, it is to keep the officials from corruption with conducting their business.
This article includes the constitutional issue regarding the infringement of the freedom of occupation of the ex-officials. Although we cannot conclude decisively that this provision is unconstitutional, it still includes the unconstitutionality. Rather, it is more desirable to limit the representation or lobbying to the government which the ex-official had worked with. We should approach this from the point that the essence of this provision lies in the corruption of the incumbent officials. It is the violation of the Ethics of Government Act to treat the ex-official preferentially.
목차
〈국문초록〉
Ⅰ. 시작하며
Ⅱ. 공직자의 윤리와 부패
Ⅲ. 공직자윤리법 개정안과 이에 대한 평가
Ⅳ. 마치며: 공직자의 윤리 확립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