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을 배경으로 한 한국소설 “북간도北间岛”의 중국 형상 연구
이용수 49
- 영문명
- Korean modern literature of china’s cultural image research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남춘애(Chun-ai, Na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9輯, 271~29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hina’s neighbours, china and south korea’s cultural exchanges, and its contentis acomprehensive. the study of south korea, and modern literature of china’s cultural image.
Korean modern literature of china’s image and modern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product image(jmagologie)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in france, the main subject of a country in the literature of description.。Historically, china has been used in modern times is the absolute "he who(the other), korean, chinese is the core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s the core in confucianism is the chinese culture and civilization of east asia region. but modernization process began to change this state of affairs. china’s image in the modern context (context of change.) Korean the modernization of most east asian countries, the same as a result of colonialism in the east of western expansion process. china absolutely "he" position in the western powers under the impact of the vanished. korean to interpret the objective of modern literature. the context of china’s image from the social changes in context.
This article in the south korean modern literature of china’s image into the city image, the image of the chinese image of the course of study o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china’s cultural image,As "he" ethnic image for its own culture. as a “he” china’s image by the korean solely rely on modern literature to local realities of, is not complete the task, namely, south korea’s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stair. this should be the image of china in modern literary value of knowledge.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북간도」에 투영된 중국문화형상
Ⅲ.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석정 초기시의 시간현상학적 의식 지향성 연구
- 대전ㆍ충청지역의 문학 공간 연구
- ‘-었더니’의 통사와 의미
- 효율적인 발음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 고전소설에 나타난 假墓話素의 전승과 그 의미
- 전영경 시 연구
- 古今歌曲의 편찬 목적과 작품 수록의 독자성 고찰
- 『시조』(장서각본)의 수록작품과 변이 양상
- 중국을 배경으로 한 한국소설 “북간도北间岛”의 중국 형상 연구
- 〈閔翁傳〉을 통해 본 조선후기 이야기꾼의 존재와 고전소설 유통의 의미 탐색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학습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 만주 체류 시기 백석의 ‘조선적인 것’에 나타난 시대정신
- 記錄을 통한 『龍飛御天歌』의 原作者 辨正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