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thnographical Understanding o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정병근(Jung, Byung Keun) 윤상호(Yoon, Sang Ho)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6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체육수업의 장을 이해함으로써 계절변화에 따라 체육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조명하여, 체육수업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고등학교 체육교사 4명과 학생 5명(남자 3명, 여자 2명)을 대상으로 하여 체육수업을 관찰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문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코딩, 주제 생성의 과정을 통해 기술―분석―해석을 하였으며 자료 분석에 대한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삼각검증법, 동료간 협의회, 구성원 간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봄은 질서가 만들어지는 공간, 조정의 공간 등의 ‘혼돈의 장’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은 시련의 공간, 절제와 인내의 공간 등의 ‘고난의 장’으로 나타났다. 가을은 균형의 공간, 상승의 공간 등의 ‘조화의 장’으로 나타났으며, 겨울은 매듭짓기의 공간, 풀림의 공간 등의 ‘대단원의 장’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Lo describe how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conducted in playground and gymnasium as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multi-dimensionally and with in-depth, and to present data neede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doing this, the author selected the subjects including four teachers in physical training and five high school students(two males and three females), observed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es,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ed related literature.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y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ormation, and in order to enhance veracity of the data collection,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and member check were underg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eld of chaos’ such as the space created order, the space of adjustment was Shown in spring and ‘field of suffering’ such as the space of trials, the space of moderation and tolerance was shown in summer. ‘Field of balance’ such as the space of balance, the space of the rise was Shown in autumn and ‘Field of denouement’ such as the space of knot building, the space of loosening was shown in wint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계절별 체육수업 장의 이해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