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으로서의 영성지능

이용수  444

영문명
Spirituality as the Purpose of Holistic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김복영(Kim, Bokyoung)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115~13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으로서 아직 충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기는 하지만 제3의 지능이라고 할 수 있는 ‘영성지능(SQ)’을 고찰하였다. SQ란 우리가 의미와 가치의 문제를 다루고 해결할 때 사용하는 지능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행동과 삶을 광범위하고 풍부하며 의미 있는 맥락에 자리매길 수 있게 하는 지능이며, 어떤 일련의 행동이나 삶의 경로가 다른 것보다 의미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게 하는 지능을 말한다. SQ는 IQ와 EQ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는데 필수적인 기초가 된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인간의 궁극적인 지능인 SQ 관련 여러 학자들의 정의와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대안교육운동으로서 홀리스틱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점이 바로 영성(spirituality)이라는 점이다. 홀리스틱 교육은 철학적 배경, 심리학적 배경, 사회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핵심어는 홀리즘(holism)이며 만물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전연관적인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홀리스틱 교육은 영성지능을 발달시키는 것과 직결되어 있다. 결국 21세기의 교육의 과제는 궁극적인 지능인 영성지능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것이 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spiritual intelligence which is an ultimate intelligence holistic education seeks. Holistic education is a philosophy of education based on the premise that each person finds identity, meaning, and purpose in life through connections to the community, to the natural world, and to humanitarian values such as compassion and peace. Holistic education aims to call forth from people an intrinsic reverence for life and a passionate love of learning. The concept of holism refers to the idea that all the properties of a given system in any field of study cannot be determined or explained by the sum of its component parts. Instead, the system as a whole determines how its parts behave, A holistic wav of thinking tries to encompass and integrate multiple layers of meaning and experience rather than defining human possibilities narrowly. Spiritual intelligence is a term used to indicate a spiritual correlate to IQ (Intelligence Quotient) and EQ (Emotional Quotient). Like EQ, SQ is becoming more mainstream in scientific inquiry and philosophical/psychological discussion. In spite of both its popular currency and its protracted retraction, spiritual intelligence as an emergent. viable construct within psychology, bolstered particularly by Transpersonal Psychology, is receiving considerable scholarship. In order Lo increase SQ, meditation is commonly used. In holistic curriculum universe story, journal writing, films as content arc used in the school setting.

목차

Ⅰ. 서론
Ⅱ. 영성지능의 정의와 모델
Ⅲ. 영성지능의 필요성과 목적
Ⅳ. 영성지능의 홀리스틱 교육에 대한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복영(Kim, Bokyoung). (2011).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으로서의 영성지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5 (1), 115-134

MLA

김복영(Kim, Bokyoung). "홀리스틱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으로서의 영성지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5.1(2011): 115-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