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게임모델을 이용한 정부협상 분석 및 사회적 의미

이용수  159

영문명
Social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n the Government Negotiation by Using Game Model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황광선(Hwang, Kwangseon)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통권21호 (2011년 1호), 95~1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8년 4.18 한국과 미국의 쇠고기 협상을 분석하였다. 2인 게임모델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이 협상 전후로 해서 어떤 전략과 보수를 가지고 있었는지 분석하고, 협상 후 국내 반응을 한국정부와 한국국민의 베이지안 게임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의 게임에서 쇠고기 협상을 FTA와 연계하지 않고 협상을 진행하였으면 한국 정부는 폭넓은 협상 시각을 가지고 적극적인 게임을 벌일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 되었고, 한국정부와 한국국민의 게임에서 한국이 국민의 선호를 정확히 좀 더 신중히 파악하였다면 정확한 판단과 전략을 가지고 협상에 임하여 대규모 국민 저항같은 사태를 방지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한국과 미국의 게임에서 한국은 FTA의 연계를 통하여 한국 전체를 대표하는 협상 보수를 갖지 아니하고 정부만의 보수를 가지고 잘못된 전략을 선택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듯이 앞으로의 협상에서는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실제적인 협상내용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정부와 한국국민의 게임에서 한국정부는 한국국민의 시각을 알 때와 모를 때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부는 사소한 협상이라도 국민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사안에 대해서는 정보를 많이 획득하여 국민과의 소통을 최대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How can we understand the phenomenon that resulted from the Korea-U.S. beef negotiation in 2008 This study analyzes the strategy and payoffs of the Korea-U.S. beef negotiation in 2008 using game model, as well as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ublic using Bayesian gam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Korean government could have molded a more proactive game circumstance with more bargaining options if the beef negotiation had not been linked to the FTA. Also, the Korean government could have prevented the public outrage that ensued if the negotiator had attended the negotiation table with clear judgment and strategies based on exact knowledge of the public’s preferences. This study offers two suggestions for future negotiation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inimize the external effects and set tactics focusing on the negotiation itself. In the game between Korea and U.S., the government made wrong strategic choices when it considered only the payoffs for the government and not the payoffs of the entire society. Secondly, in a gam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different result were shown depending on whether the government knew the people's opinion or not. Thus the government should have bette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be sensitive to its opinion before important negotiations.

목차

1. 서론
2. 게임모델 및 설계
3. 4.18협상 분석
4. 결론
▣ 참고문헌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광선(Hwang, Kwangseon). (2011).게임모델을 이용한 정부협상 분석 및 사회적 의미. 사회연구, , 95-120

MLA

황광선(Hwang, Kwangseon). "게임모델을 이용한 정부협상 분석 및 사회적 의미." 사회연구, .(2011): 95-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