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n College Students’ Dictionary Use
이용수 20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Myong Hee Ko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8 No.1, 19~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scrutinizes Korean college students’ dictionary use in pursuit of formulating teaching implications. Investigation of dictionary use is worthwhile since a dictionary is a Korean learners’ main source for learning L2 vocabulary and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area. A total of 436 Korean college students taking an English reading cour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y on dictionary us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used more than one dictionary and 82 percent of them possessed an electronic dictionary. About 43 percent used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34 percent used a cellular phone dictionary. Second, 78 percent used an English-Korean dictionary, 14 percent used an English-English dictionary, and 8 percent used an English-English-Korean dictionary. Third, 68 percent of English-Korean dictionary users always looked up definitions. Around 50 percent of English-English or English-English-Korean dictionary users always looked up definitions. Around 30 percent of English-English or English-English-Korean dictionary users also looked up illustrative sentences, synonyms, and accurate definitions. Fourth, students were deficient regarding their productive knowledge of vocabulary. They also lacked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of phrasal verbs. Based on these findings, four teaching implications regarding L2 vocabulary learning in connection with dictionary use were discussed in detai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Pedagogical Implications
Ⅵ.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근 10년간의 영어교육 연구방법론 연구
- 영어교사 심화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L2 Processing of Inflectional Morphology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 능력 신장 방안
- Korean College Students’ Dictionary Use
-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 연구
- E/LE에서 관용표현 학습의 필요성과 교수법 제안
- 코퍼스 활용 어휘지도를 통한 초등학교 5학년 통제적 글쓰기 능력 향상 방안
- 딕토글로스 활용 대학생 영어뉴스청취 학습의 듣기능력 신장 효과 분석
- 장르 기반 접근법을 통한 초등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장르 지식의 발달
- 스페인어 수능 제외 문법 사항에 대한 고찰
- 초등영어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과정과 저해요인 연구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지문 텍스트의 자연스러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