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 관점에서 본 과업 중심 언어 교육
이용수 437
- 영문명
-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a research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민(Lee, Seungmin) 민덕기(Min, Deok-Gi)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9권 3호, 181~2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 years have seen an enormous growth of interest i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his interest has been motiv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by the fact that a task is a construct of equal importance to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ers and to language teachers. Tasks can provide a driving force for bringing together the various dimensions of language, communicative context, and the mental processes of individual learners that are key to second 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terms of language teaching, tasks are viewed as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that provide learners with authentic opportunities to develop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relevant references in terms of task-based language teaching and to provide some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ask-based research and language pedagogy.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if tasks are aimed at developing holistic language abilities, how far tasks achieve this, in what ways, under what condition and why.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important in practical terms and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about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of classroom language learning. There are theoretical grounds and empirical evidence for believing that tasks might be able to offer all the opportunities for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whoever the learners might be, and whatever the context.
목차
Ⅰ. 서론
Ⅱ. 과업 중심 언어 교육의 발달과 원리
Ⅲ. 과업 중심 언어 교육 연구의 개념적 틀
Ⅳ. 과업 중심 언어 교육 연구 결과와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s of Verb Alternation and L1 Transfer on Overpassivizing English Unaccusative Constructions
- 연구 관점에서 본 과업 중심 언어 교육
- 다독이 중학생의 영어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이용한 읽기 지도
- A Theoretical Review of Creating a Print-rich Environment in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영어이름 사용이 영어성취도 및 영어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영어 스펠링 발달 양상
- 마술을 활용한 중학생 영어 학습 효과 연구
- Motivation
- 예비 영어교사를 위한 영어 쓰기능력 향상 방안
- Suggestions for Cultivating Comprehensible Output in a College English Camp
- 패턴 시를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 및 쓰기 지도
- Shadowing 훈련이 영어 듣기 능력과 전략 발달에 미치는 영향
-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Jeju Global Education City
- 한국 영어교과교육의 발전 방안으로서의 연구 종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