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치료와 자기서사의 성장

이용수  4,846

영문명
Literary Therapy and the Growth of the Epic of Self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정운채(Jeong, Un-chae)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4권 제2호, 7~5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논문은 건강하지 못한 자기서사를 건강한 자기서사로 개선하는 문학치료가 결국 자기서사의 성장을 돕는 일이며, 자기서사의 성장과정이 바로 문학치료의 큰 틀이 될 것이라는 관점에서, 자기서사의 성정과정을 세 개의 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좌절의 서사, 승리의 서사, 상생의 서사가 그것이다. 먼저 좌절의 서사에 대해서는 자녀서사영역에서 「뻐꾸기가 된 며느리」와 「아기장수」를, 남녀서사영역에서 「소 울음소리 낸 시아버지」와 「상사 뱀과 상사바위」를, 부부서사영역에서 「우렁색시」와 「나무꾼과 선녀」와 「아내 질투로 호식 당한 남편」을, 부모서사영역에서 「지붕에 소 올리라는 아버지」를 각각 검토하였다. 이러한 좌절의 서사에서는 기본적으로 울분을 토로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승리의 서사에 대해서는 자녀서사영역에서 「모래 섞어 밥한 며느리」와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남녀서사영역애서 「며느리의 유혹과 모함」과 「월경 피 묻은 속옷 입고 상사뱀 피한 처녀」를, 부부서사영역에서 「새털 옷 입고 왕이 된 남자」와 「구렁덩덩 신선비」와 「지네각시」를, 부모서사영역에서 「부자간의 친구 시험」을 각각 검토하였다. 이라한 승리의 서사에서는 자기정당성을 내세우는 것이 주안점이었다. 끝으로 상생의 서사에 대해서는 자녀서사영역에서 「돌노적 쌀노적」과 「효불효 다리」를, 남녀서사영역에서 「장모가 된 며느리」와 「상사뱀 위로하여 다시 처녀가 되게 한 남자」를, 부부서사영역에서 「남의 첩 차지한 배포 큰 거지」와 「호랑이 눈썹」과 「도량 넓은 남편」을, 부모서사영역에서 「며느리 자랑하여 효부 만든 시아버지」를 각각 검토하였다. 이러한 상생의 서사에서는 세계경영의 안목과 자질을 보여주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growth of the epic of sel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first step of the growth of the epic of self is the epic of breakdown. In this step there are 「A Cuckoo’s Song and a Daughter-in-law」, 「The Baby General」, 「Father’s Moo」, 「Lovesickness and a Serpent」, 「Snail Bride」, 「A Woodcutter and a Fairy」, 「Wife’s Jealousy and a Tiger Woman」 and 「Cow and Roof」. In the epic of break down pent-up anger is expressed. The second step of the growth of the epic of self is the epic of victory. In this step there are 「Boiled Rice with Sand and a Daughter-in-law」, 「Sun and Moon, Brother and Sister」, 「Temptation of Daughter-in-law」, 「Menses and Snake」, 「A Feather Man and a King」, 「Snake Bridegroom」, 「A Centipede Woman」 and 「Father’s Friend and Son’s Friend」. In the epic of victory self-justification is the point. The third step of the growth of the epic of self is the epic of coexistence. In this step there are 「Stacks of Stone and Stacks of Grain」, 「The Bridge of Mother」,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A Man Who Consoles Snake Maiden」, 「A Concubine and a Brave Beggar」, 「Tiger’s Eyebrows」, 「Generous Husband」 and 「A Father-in-law Who Brag about His Daughter-in-law」. In the epic of coexistence the eye and quality for world-management is very important.

목차

〈요약〉
1. 서론
2. 좌절의 서사와 울분
3. 승리의 서사와 자기정당성
4. 상생의 서사와 세계경영
5.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운채(Jeong, Un-chae). (2010).문학치료와 자기서사의 성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 (2), 7-54

MLA

정운채(Jeong, Un-chae). "문학치료와 자기서사의 성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2(2010): 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