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의 관람객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이용수 384
- 영문명
- A Case Study for Audience Development in Museum for the Audience Over Sixty
- 발행기관
- 신라대학교 예술연구소
- 저자명
- 정여진(Jung, Yeo-Jin)
- 간행물 정보
- 『예술연구』예술연구 15집, 83~1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고령자의 경제력, 교육수준 향상에 따라 고령자의 문화향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박물관은 관람객 개발을 위해 박물관의 관람객중 가장 취약한 계층인 고령자계층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박물관의 고령자 관람객 개발을 위한 방안은 그들에게 맞는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참여 프로그램으로는 박물관 교육, 자원봉사, 도슨트 프로그램 등으로 알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 고령자 관람객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국.내외 우수 사례를 통하여 시사점을 말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t present, the ageing population in our nation is rapidly growing. Their cultural needs are subsequent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ise of their economic strength and educational level. Thereby, in order to develop the audience, the museum will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ageing population, the most neglected class of audience. The plan to develop the audience involves developing diverse programs suitable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se participation programs can be examined through museum training, voluntary service, docent programs,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grams needed to develop the aged audience, and find out the implication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