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해석 방법론에서의 도상해석학
이용수 1,342
- 영문명
- Iconology As a Method for Art Interpretation
- 발행기관
- 신라대학교 예술연구소
- 저자명
- 이지현(Lee, Ji-Hyun)
- 간행물 정보
- 『예술연구』예술연구 15집, 37~4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해석 방법론에 있어 바사리는 미술가 개인의 인격적 특성에 집중했으며, 빙켈만은 양식과 기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바탕으로 학문적 의미에서의 미술비평을 개척했다. 뵐플린은 양식사적 분석을 통해 르네상스와 바로크 작품을 다섯가지 개념쌍으로 분석했다면 파노프스키는 작품 속의 상징과 내재적 의미에 집중하였다. 그는 미술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도상해석학이라는 방법론을 제시했으며 이는 3가지의 해석단계로 분리되지 않고 과정으로 이어진다. 전도상학적 단계에서는 사실과 표현이 있는 그대로의 일차적인 형식적 분석을 두 번째 도상학적 단계에서는 특정 태마나 개념에 관하여 작품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며, 마지막 도상해석학적 단계에서는 종합적 단계이다. 이는 작품의 내적 의미를 찾아내고 작품이 가지고 있는 한시대의 지배적 문화양식, 특정 미술가의 양식까지 담고 있는 예술적 형성물로 더 나아가 문화적 징후까지 알아 낼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paintings, while Vasari focused on the painters' personalities, Winckelmann developed the painting-interpretation into a human science, by analyzing some elements such as styles and weather. Furthermore, W?lfflin analyzed the paintings of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through the analysis of styles, Panofsky focused on the symbols and intrinsic meanings in the paintings. According to Panofsky, there are three subject matters or meaning strata in the art works. The pre-iconographyl step as the first stratum of meanings focuses on primary or natural subject matter. The most basic level of understanding, this stratum consists of perception of the work's pure form. The second stratum is iconographical step focusing on secondary or conventional subject matter. This stratum brings to the equation cultural and iconography
knowledge. The last step is the iconology interpreting the intrinsic meaning or content. This level takes into account personal, technical, and cultural history into the understanding of a work. It looks at art not as an isolated incident, but as the product of a historical environment.
목차
Ⅰ. 미술해석 방법론
Ⅱ. 도상해석학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