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직무능력향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50
- 영문명
- The Effects of Job Performance wi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Strategic Industry in Busan Area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이용탁(Lee, Yoeng Taak)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5권 제3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전략산업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개발 유형에 따른 직무능력향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개발유형을 전사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인적자원개발 유형과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인적자원개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인적자원개발에 따른 직무능력향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지역인적자원개발 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507개 기업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개발의 실시여부, 인적자원개발에 따른 직무능력향상의 효과에 대한 분석, 그리고 인적자원개발의 유형에 따른 직무능력향상과 조직성과(문제해결능력, 종업원만족도, 노동생산성, 시장점유율)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그리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effect on organization performance, broadly measured, on the strategic companies in Bus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enterprise is concerned with creating a competitive advantage for organizations by closely alig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c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n become a competitive advantage for organizations in terms of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f it more closely aligns its practices with strategic management efforts. In particular, we divided dimensions of the typ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o two groups: 1) the typ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company-wide level, and 2) the typ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the field to use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anel Survey. We suggested three implications based on the firm level survey data of 507 companies. One is to impl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ether or not, another is to analyze correlati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hich are problem-solving ability, employee`s satisfaction, labor productivity, and market share, and the other is the discussion of to effect on organization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