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동시적 온라인 학습의 상호작용 평가를 위한 통합적 평가준거 개발 및 적용
이용수 377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ive Assessment Framework for Analyzing Interaction in Asynchronous Learning Environment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송해덕(Hae-Deok Song) 김규식(Kyu-Sik Kim)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5권 제3호, 19~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업 및 대학교육에서 이러닝 적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에서, 성공적인 이러닝 학습을 위해 고려해야 할 가장 핵심적인 요인 중의 하나는 상호작용이다. 이러닝 환경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비동시적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상호작용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상호작용의 특정 측면만을 분석하고 있어서 그 역동성을 분석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동시적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상호작용의 역동성을 평가하기 위한 통합적인 평가준거들을 확인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학습의 상호작용을 거시적인 차원과 미시적 차원의 두 차원에서 분석하기 위한 평가준거 및 평가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평가준거들은 HRD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주로 하는 서울시내 소재 한 특수대학원의 혼합형 수업 강좌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호작용평가모형은 비동시적 온라인 학습의 상호작용을 통합적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use of e-Learning is increasingly growing at higher education and corporate settings, one of the key variables for the successful online learning is interac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online interaction,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specific aspects of online interaction, and thus fail to reveal the dynamics of online interac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a comprehensive assessment framework that analyzes the multiple facets of online interaction such as macro-level and micro leve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uthors propose assessment criteria and methods for measuring interaction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that includes both macro level and micro level. This assessment framework is then tested with data collected from an asynchronous online course at a HRD graduate school. The developed assessment framework provides instructional designers and HRD practitioner with guidelines that can facilitate interaction in asynchronous online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