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랍 음악의 이해
이용수 565
- 영문명
- Understanding of Arab Music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전완경(Cheon, Wan-Kyung)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중동문제연구 제8권 1호, 81~1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rab music which has a advanced long history is not familiar with us and we have not sufficient informations about it. Therefore I start to trace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s of Arab music from the pre-Islamic epoch till the present time. In the pre-Islamic epoch, the Arabs have special concern to the singing and music and liked it. In the first century of Islam, the impact and influence of the foreign music, such as Persian and Byzantine music, has started to appear among Arab society. Under the Umayyads, music and songs became very popular among all people and new melodies and motifs had been introduced to the Arab music. The first century of the Abbasid Caliphate saw a big increase of Persian influence. During the Abbasids era, people from different cast of the society has high tendency to embark singing and has developed the music to the highest position. We can say that Arab music have influenced the Indian & Persian music. In view of that Arabs in Andalusian territory have developed a special musical forms such as the song-poem, Muwashshat, it is no doubt that Europe has been affected by the Arabic-Islamic musical system.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슬람 초기의 음악
Ⅲ. 압바스 시대의 음악
Ⅳ. 안달루스의 음악
V. 아랍의 음악이론
VI. 유럽에 끼친 아랍 음악의 영향
VII.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갈등이론으로 본 이라크 쿠르드지역정부 내부분열정치와 도전요인
- 글로벌 콘텐츠 확장 관점에서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 연구: 문화적·서사적 변형과 선호 요인을 중심으로
- 트라우마적 역사에 대한 서사적 회복: 시난 안툰의 소설 『오직 석류나무만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