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랍어본 『천일야화』에 나타난 간계의 유형
이용수 103
- 영문명
- Types of Tricks in Alf Laylah wa Laylah -The Story of King and Prince and Mistress and Seven Ministers-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동은(Lee, Dong-Eun)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중동문제연구 제8권 1호, 133~1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5.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f Laylah wa Laylah is the book of folk tales of Middle East. In this book many tales which include all subjects of human life are connected systematically in the narrative device of frame story and contain the thoughts and the emotion of Middle Eastern people. This paper studies the types of tricks in Alf Laylah wa Laylah focusing the story of king and prince and mistress and seven ministers. As for the women's tricks, they are classified by four types like the trick to cover up the unfaithful deeds and the trick to make men fa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by queer ways and the audacity and the trick to intervene in the love affairs of young couples and the trick to intrigue against the hostile eyewitness and make him die. Usually women's tricks are successful in most cases. As for the men's tricks, they are classified by three types like the trick to gain the love and the trick to intrigue against prince and the trick to make a woman of one-sided love fa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Men's tricks are failed in most cases. When we compare the tricks of women with those of men, women show the image of the fineness and the strongness while men show the image of the stupidness and the feebleness.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sexual suppression of women and the sense of alienation of them in the patriarchal system in the medieval Arab society. The Arab women would express their miserable situations satirically in the imaginary world of sto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축이야기의 전개
Ⅲ. 여성들의 간계의 유형
Ⅳ. 남성들의 간계의 유형
Ⅴ.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갈등이론으로 본 이라크 쿠르드지역정부 내부분열정치와 도전요인
- 글로벌 콘텐츠 확장 관점에서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 연구: 문화적·서사적 변형과 선호 요인을 중심으로
- 트라우마적 역사에 대한 서사적 회복: 시난 안툰의 소설 『오직 석류나무만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