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원지역 구석기유적의 입지유형과 시기구분 연구

이용수  183

영문명
Geological distribution and Chronological context in Gangwon region Paleolithic sites, Kore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최승엽(Choi, Seung-Yup)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3輯, 83~10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유적의 입지조건과 지층 및 석기군의 시간적인 변화를 추론하여 장차 강원지역 구석기유적의 시.공간적 정체성을 천착할 때 기초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다. 먼저 강원 영서지역의 경우 북한강.홍천강.남한강, 그리고 이들 대하천으로 유입되는 크고 작은 지류로 구성되어 있는 하계망을 따라 하안단구 지형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영동지역에는 해안선을 따라 분포해 있는 해안단구 지형에 주로 구석기유적이 입지하고 있는 공통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강원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의 지층과 유물층의 층서를 대비하여 유적마다 층위학적 맥락이 매우 뚜렷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A층(명갈색 점토층), B-1층(암갈색 점토층), C-1층(적갈색 점토층)을 기준으로 층서를 확립하고, 그 사이에 유적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지층들(B-2층, C-2층)의 선후 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층서를 바탕으로 각 지층에 해당되는 유적에서 확보한 절대연대 측정 결과를 나열하여 연대 범위를 설정하고, 문화 양상의 변화를 고려하여 중기 구석기시대 1.2.3기, 후기 구석기시대 1.2기로 시기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기 구분에 따라 층위 양상의 변화, 돌감 및 석기 갖춤새의 변화 등을 고찰하여 강원지역 구석기문화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강원지역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자연 환경적 특성.석기 양상 등 타 지방의 집단과 구별되는 연대감을 바탕으로 문화적 동질성을 추출하여 공간 구분하고 시간적인 변화과정을 추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점차 진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ing identity of Gangwon paleolithic sites, particularly based on geological distribution and stratigraphic-chronological context in the excavation sites. First, topographical types of paleolithic sites in Gangwon region were examined, 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River terrace: in Yungseo region, most paleolithic sites are distributed at river terraces by big rivers such as the Bookhan river, the Namhan river and their branches. Karst: paleolithic sites in mountainous limestone region such as Doline in Samokri, Yundang Pinan cave in Yungwol and the twin cave in Gihwari in Pyungchang are distributed in karst area. Volcanic land: paleolithic sites are distributed in volcanic land region at the Hantan river. Jangheungri site in Chulwon is well known among them. Marine terrace: Most paleolithic sites in the east coast region are distributed in coastal terrace. Second, from the analysis of lithic assemblage, it was found that large tools such as chopper, polyhedron, handaxe and pick prevailed in middle paleolithic, and small tools made of quartz prevailed in the early part of upper paleolithic period, and various microlith prevailed in the late part of upper paleolithic period. With respect to region, microblade made of various raw-material including obsidian prevailed in Yungseo region and small tools made of quartz prevailed in Yungdong region. Finally, paleolithic artifacts in Gangwon region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change of composition and aspect of stone tools in the passage of time was examined. There was no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Yungseo and Yungdong region in the middle paleolithic. However, discernable difference was shown in the upper paleolithic. In Yungseo region, microblade industry prevailed, whereas in Yungdong region, small tools made of quartz kept prevailing. With respect to use of material, various raw material including obsidian were used in Yungseo region, while in Yungdong region, quartz and quartzite were mostly used but other ones were little used. Paleolithic sites in Yungdong region did not show lithic assemblage found at Sangmuryungri, Hahwageri, Jangheungri in Yungseo region such as microblade core and microblade.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의 공간적인 분포
Ⅲ. 지층 및 석기군의 시간적인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승엽(Choi, Seung-Yup). (2010).강원지역 구석기유적의 입지유형과 시기구분 연구. 선사와 고대, 33 , 83-105

MLA

최승엽(Choi, Seung-Yup). "강원지역 구석기유적의 입지유형과 시기구분 연구." 선사와 고대, 33.(2010): 83-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