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esthetics of Jeongup Area Siga Literatr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전일환(Jeon Ihlhw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5輯, 359~3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we know there are “Jeonupsa,” “Sunwunsanga,” “Jirisanga,”“Bangdeungsanga” except “Mudeungsnga,” a tranquil song, among 5 songs of Baikjae poetrys in Jeongub area, and Jeong Geukin’s “Sangchoongok,”a type of Gasa, “Bulwooheongok”, a good flush type, and “Bulwuheonga,”a short song, in Joseon Dynasty. The former, as the poetry songs, with continuously the theme of female’s chastity, is a faithful wife’s song waiting the lover with loving mind as the aesthetics of faithful wife. In these works there are no a bitter feeling or resentment, but only believing and following husband in Confucianism, which a woman ought to be obedient to her husband(女必從夫). The next Jeonggeukin’s work, “Bulwuheon,” is belief of lord and vassal in the background of traditional Confucianism. “Bulwuheonga” or “Bulwuheongok”is a weeping contents with the benevolence of King Sungjong to the descending government post, and as we see denotation, he was no afraid in the worldly life and sung the aesthetics of enjoyment in the evil luck with nature unifying with the one. However, we feel deep feeling on rather the abandoned post, since “Bulwuheon,”meaning no anxiety, described irritation of a house of anxiety(憂軒). We can say “Sangchungok” also is the work imbeded in projecting feature of Bulwuheon living in aesthetics of the whole body with the thing in nature departing fear and anxiety. We can also define the poetry songs in Jeongub area is Korean traditional literary type with the characteristic as a complex genre acted the assistant role in narration and artificial writing.
                    목차
1. 들어가며
	                       
	                          2. 정읍권 시가와 불우헌 시가의 미학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수영 산문에서 지시사 대용어의 조응 및 강조 표현
- 남평 조씨 3년 9개월의 家政과 인간경영
- 한국어 중첩의 접사성과 의미
- 충남방언 ‘X]vst + 어요’의 음운론
-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 최인훈 『크리스마스 캐럴』 연작 연구
-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윤 연구
- 정읍권 시가문학의 의의와 미학
- 김성식 시인의 시에 나타난 해양체험의 한 양상
- SVO 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에 나타난 문장의 통사적 복잡성과 다양성 연구
- 학생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한 글쓰기 지도 연구
- 근대소설의 귀향과 여로 모티프 비교 연구
- 손창섭의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의 주체 형성 과정
- 수관형사 ‘한’의 통시적 고찰
- 한국어 형용사 범주 인식의 변화 양상
- <춘향전>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의 다양화 방안 모색
- 전라방언 융합형 ‘-ㄴ고니’의 문법과 화용적 특성
- 淸狂子 朴士亨의 生涯와 詩文學 硏究
- 영상 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 매체에 의한 어휘의미의 변용과 국어교육적 수용방안
-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
- 외국어로서의 북한어 ‘토-문법’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