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ace-Transformation —Shatuo Military Generals in Yang-Wu State—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저자명
- 胡耀飛(HuYaoFei)
- 간행물 정보
- 『아시아연구』제8호, 67~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당말 오대시기, 대북지역에서는 사타(沙陀)부족이 주도한 대북집단이 활동하였고, 회남지방에서는 회남 한족에 의한 정권인 회남집단이 활동하고 있었다. 이 두 집단은 서로 현저히 떨어져 있었으므로 접촉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러나 안인의(安仁義), 미지성(米志誠), 이승사(李承嗣), 사엄(史儼), 사건장(史建章) 등 사타인 장군들이 우연히 회남지방으로 남하하게 된 이후 정치, 군사, 문화 세 분야에서 ‘공간전이’를 체험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그들의 생활은 완전히 변화되었다.먼저 정치적 분야에 대해 논하자면 여기에는 두 가지 요소가 존재하는데 첫째는 대북집단과 회남집단에게 대외적 정치란 당 왕조를 존경하고 받드는 것으로, 당에 맞서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둘째로 대내적 정치에서는 대북집단의 수장인 이극용(李克用)과 회남집단의 수장인 양행밀(楊行密)이 둘 다 지도자로서의 단결 능력을 확연히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위에 든 5인의 ‘공간전이’ 과정 속에서 서로가 더 많은 것을 요구하며 겨루게 되었다. 군사적 분야에서는 대북집단의 무장들이 기마부대 위주였던 반면, 회남집단의 무장은 보병위주였다. 따라서 5인에 의한 ‘공간전이’ 과정 속에는 일반적으로 기마부대가 우세했지만, 양오(楊吳)정권과 주량(朱梁)정권의 전투상황에서는 각자의 군사적 이점을 별로 발휘하지 못하였고, 심지어 수군작전을 이끄는 방향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문화적 분야에서는 위의 5인은 사타부에서 소그드 인의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높은 충성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또한 물질적 이익을 중요시하는 유풍을 가지고 있기도 하였다. 이렇게 다문화적이면서도 이익을 중시하던 양상은 대북집단이 회남집단 지역 내에서 끝내 인정받기 힘든 소지를 갖고 있었다. 이렇게 위에서 본 세가지 방면으로 볼 때에 ‘공간전이’ 과정에서, 비록 두 집단은 처음부터 서로 비슷한 정치 추세를 가지고 있었고 판이한 군사적 행위의 차이 때문에, 양행밀로부터 중시(重視)될 수 있었지만,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였으므로 끝내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5인은 보편적으로 인정받기 어려웠으며, 또한 미약한 세력이었으므로 시종 비주류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사례로 삼아서, 본문에서는 양오정권에 드나든 ‘공간전이’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동시에, 실제 사례를 열거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경상(經商), 출사(出使), 화친(和親), 반도(叛逃), 사진(仕進), 유학(留學), 전패(戰敗)등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물론 이것이 ‘공간전이’의 모든 유형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이를 통해 판이한 지역공간 아래에 처해진 옛 사람들이 그들의 인생경력에서 도대체 얼마나 큰 변천을 겪게 되었는지를 우리들에게 일깨워 주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eriod of Late-Tang and Five-Dynasties, the Huainan Group in Yangzi-Huaihe area and the Daibei Group in Hedong area were all powerful military states, under the Tang Emperor’s order. Due to the difference of
geographical condition, there was almost no exchange between the the two states. While, the moving of An Renyi, Mi zhicheng, Li chengsi, Shi yan and Shi jianzhang, who were Daibei generals, is worth exploiting. In terms of the political, militarial and cultural Space-Transformation, we can preview the un-similarity between Daibei and Huainan Groups. In this paper, the author’ purpose is to study the life of those generals. Although the same kind of probability in politics and the different characters in military had made them important in Yang Xingmi’s eyes, there was no harmony in the culture difference. In other words, those Shatuo generals had not had a common acceptance in Huainan people’s mind after they came in the Huainan Group, and then, they always felt truly sidelined. On the basis of this case, the author tried to classify this transformation into several different situations, and thus draw attention to the ancient people who suffered the transformation and tried
to make a live.
목차
前言
一、沙陀武將:聯繫兩個集團的紐帶
二、“空間轉移”:沙陀武將命運的轉變
三、時代背景:“空間轉移”在楊吳政權中的體現及其歷史地位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