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atment Outcome and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of High Grade Glioma Treat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이선민(Sun Min Lee) 박영제(Young Je Park) 윤원섭(Won Sup Yoon) 이석(Suk Lee) 양대식(Dae Sik Yang) 정용구(Yong Gu Jeong) 김철용(Chul Yo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0권 제1호, 117~1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WHO 등급 3/4의 신경아교종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수술 후 고악성도 신경아교종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18∼77세(중앙값, 51세), 남, 여가 각각 55, 44명이었다. 수술은 완전절제, 아전절제(50% 이상 절제), 부분절제(50% 미만 절제), 조직검사만 시행한 예가 각각 16, 38, 22, 23명이었고, WHO 등급 3, 4, 기타(unspecified high grade glioma)가 각각 32, 63, 4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1.8 또는 2 Gy 통상 분할치료 혹은 1.2 또는 1.5 Gy 하루 2회 치료 방법으로 하였고 중앙 생물학적 등가선량은 72.2 Gy10 (18.6∼83.3 Gy10)였다.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나 연속화학방사선요법을 적용한 환자가 49명이었다. 환자들의 생존율 및 실패양상, 예후인자, 부작용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11개월이었다. 국소치료 실패한 환자가 54명(54.5%)이었고, 이중 12명(22.2%)은 방사선치료부위 밖의 병변 진행을 동반하였다. 전체 생존율은 1년 56.6%, 2년 29.3%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3개월이었다. 무진행생존율은 1년, 2년이 각각 31.3%, 18.2%였으며, 중앙생존기간은 7개월이었다.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나이(p=0.0001), 수술 절제 정도(완전절제를 기준으로, 아전절제 p=0.023, 부분절제 p=0.009, 조직생검 p=0.002),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p=0.049)였다. 무진행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나이(p=0.036)와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p=0.006)였다. 방사선치료중과 후에 3등급 이상의 부작용이 각각 3명과 1명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나이, 수술절제 정도, 수술 후 영상검사에서 조영증가 여부가 생존율에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국소 치료실패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국소 제어율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radiotherapy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WHO grade 3 and 4 glioma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9 patients with malignant gliomas who underw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1988 and 200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otal resections, subtotal resections (≥50%), partial resections (<50%), and biopsies were performed in 16, 38, 22, and 23 patients, respectively. In total there were 32, 63 and 4 WHO grade 3, 4, and unspecified high grade gliomas, respectively. The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was in the range of 18.6 to 83.3 Gy10 (median dose, 72.2 Gy10).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prognostic factors, and adverse effect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11 months and there were 54 patients (54.5%) with local failure. The one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56.6% and 29.3%,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13 months. The one and 2-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s (PFS) were 31.3% and 18.2%, respectively, and the median PFS was 7 months. Th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re age (p=0.0001), surgical extents (subtotal resection, p=0.023; partial resection, p=0.009; biopsy only, p=0.002), and enhancement of tumor in postoperative imaging study (p=0.049). The factors affecting PFS were age (p=0.036), tumor enhancement of the postoperative imaging study (p=0.006). There were 3 patients with grade 3 and 4 side effects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In addition to age and surgical extents, tumor enhancement of the postoperative imaging study was included in the prognostic factors. The most common relapse patterns were local failures and hence,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local control rate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안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Breast Carcinoma
-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High Energy Photon Beam Modeling Using Transport Theory for Calculation of Absorbed Dose Distribution
- Stereotactic Radiosurgery of 26 Intracrani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with Linear Accelerator
- External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Hyperthermia in the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iary System
- Determination of the Phantom Scatter Factor (Sp Factor) using a small Block in the Phantom
- Analysis of Pretreatment Prognostic Factors in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Intracranial Tumors
-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Recurrent Glioblastoma Multiforme using Yeungnam Localization Device
- 고악성도 신경아교종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과 예후인자 분석
- Dosimetry for Total Skin Electron Beam Therapy in Skin Cancer
- The dosimetric Properties of Electron Beam Using Lyon Intraoperative Device for Intraoperative Radiation Therapy
- Malignant Schwannomas of the Ethmoid Sinus and the Larynx
- Pretreatment prognostic Factors in Early Stage Cari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8MHz RF Capacitive Heating on Rabbit Lung
- Brainstem Tumors
-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피부염 발생 정도 및 관련 인자들의 분석
- Radiosensitization of Cis-Platimum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New Techniques for Optimal Treatment Planning for LINAC-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Dosimetric analysis of different whole brain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methods: three types of 3-dimensional versus hippocampal avoidant
- To irradiate or to wait: practical considerations when planning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kidney tumors using magnetic resonance-guided online adaptive radiotherapy
- Definitive 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s it time for an updat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