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이용수  6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김원동(Won Dong Kim) 박찬일(Charn Il Park) 김광현(Kwang Hyun Kim)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0권 제1호, 35~4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2.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79년부터 1990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8명의 환자가 두경부에 생긴 선양낭포암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5명의 환자는 대타액선의 병변이었고 나머지 33명의 환자는 주로 경구개와 상악동을 침범한 소타액선의 병변이었다. 11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았으며 37명의 환자에게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 추적기간은 49.5개월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5년에 71.1%, 10년에 44.3%였으며 근치적인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경주위로의 침범여부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는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한 경우에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field size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40%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폐를 침범하였다. 원격적이 이후의 생존율은 5년에 19.5%로서 원격전이가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생존율은 5년에 79.0%, 10년에 19.2%였으며 8년 이후에도 생존율은 계속 감소하였다. 무병생존율은 5년에 45.8%였으며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같이한 그룹과 대타액선의 병변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선양 낭포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 cm2 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함으로써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영문 초록

Forty eight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n the head and neck treated between 1979 and 1990 were reviewed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and clinical courses. The common site of origin was minor salivary gland (69%), mostly hard palate and maxillary sinus. 11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RT) alone and 37 patients received combined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The follow-up period of the survivors ranged from 4 to 118 months (median 49.5 months). The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69.3%, 67.3% and 83.9% in RT alone. conservative operation (OP)+RT and radical OP+RT group, respectively (p>0.05). The control of local disease was best achieved with radical OP+RT. In postoperative RT, high dose (≥60 Gy) and generous field size (>64 cm2) yielded a better local control rate. Actuarial overall survival rate was 79.0% at 5 years and 19.2% at 10 years. Distant metastases (DM) developed in 40% of patients, mostly in the lung. Disease-free (NED) survival rate was 45.8% at 5 yea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exist according to primary sites and treatment options. Survival rate after the onset of DM was 19.5% at 5 years. Occurrence of DM tends to lower survival significantly. In an effort to find the role of RT in the treatment of ACC. our data suggest that a well-planned postoperative RT employing a high dose and generous field size can produce high local control rate and remaining urgent problem of distant metastasis demands more effective chemotherap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urvival of ACC pati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동(Won Dong Kim),박찬일(Charn Il Park),김광현(Kwang Hyun Kim). (1992).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0 (1), 35-41

MLA

김원동(Won Dong Kim),박찬일(Charn Il Park),김광현(Kwang Hyun Kim).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0.1(1992): 3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