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피부염 발생 정도 및 관련 인자들의 분석

이용수  124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Incidence and Related Factors for Radiation Dermatitis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이선영(Sun Young Lee)ㆍ권형철(Hyoung Cheol Kwon)ㆍ김정수(Jung Soo Kim)ㆍ이희관(Heui-Kwan Lee)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0권 제1호, 16~22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2.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에서 치료로 인한 방사선 피부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 해서 전단계로서 피부염 발생정도와 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해 보았다.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북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목적의 유방 보존 절제술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침윤성 유방암 환자 338명 중, 보상체를 사용하거나 반대측 유방의 방사선 치료 기왕력이있는 환자를 제외한 284명에서, 전자선 추가 치료를 시행하기 전 전체 유방에 50 Gy 방사선 조사 후, 방사선 피부염이 발생된 정도와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2도 이상의 중증 피부염을 보인 환자에서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결 과: RTOG 등급 0 또는 1과 2도 이상의 경증 및 중증 방사선 피부염은 각각 207명과 77명에서 관찰되었다. 2도이상 중등도 이상의 방사선 피부염이 발생한 77명의 환자에서 림프액 저류에 의한 림프낭과 림프부종은 방사선 피부염의 회복을 방해하는데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으며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p=0.003,p=0.001). 그리고 피부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 활성화에 의한 반창고 과민반응과 호르몬치료 병용도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소로 분석되었으며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나타냈다(p=0.001, p=0.025).결 론: 방사선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유방암 환자에서 경증 또는 중증 정도의 방사선 피부염이 발생되었으며, 림프낭, 림프부종 및 반창고 과민반응 등은 방사선 피부염의 정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분석되었다. 따라서 림프낭이 존재하는 경우 방사선치료 전 제거가 우선되어야 하며, 반창고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치료 중 주의 깊은 관찰과 특히 중등도 이상의 피부염 환자들에게는 치료부위의 피부에 대한 지속적인 보습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We analyzed the incidence and related factors of radiation dermatitis; at first, to recognize whether a decrease in radiation dermatitis is possible or not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Of 338 patients, 284 with invasive breast cancer who received breast conservation surgery with radiotherapy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June 2009 were evaluated. Patients who also underwent bolus, previous contralateral breast irradiation and irradiation on both breasts were excluded. For patients who appeared to have greater than moderate radiation dermatitis, the incidence and relating factors for radiation dermatit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207 and 77 patients appeared to have RTOG grade 0/1 or above RTOG grade 2 radiation dermatitis, respectively. The factor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77 patients who appeared to have greater than moderate radiation dermatitis include the presence of lymphocele due to the stasis of lymph and lymph edema which affect the healing disturbance of radiation dermatitis (p=0.003, p=0.001). Moreover, an allergic reaction to plaster due to the immune cells of skin and the activation of cytokine and concomitant hormonal therap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p=0.001, p=0.025). Conclusion: Most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radiation therapy appeared to have a greater than mild case of radiation dermatitis. Lymphocele, lymphedema, an allergy to plaster and concomitant hormonal therapy which affect radiation dermatiti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Consequently, we should eliminate lymphocele prior to radiation treatment for patients who appear to have an allergic reaction to plaster. We should also instruct patients of methods to maintain skin moisture if they appear to have a greater than moderate case of radiation dermatiti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안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영(Sun Young Lee)ㆍ권형철(Hyoung Cheol Kwon)ㆍ김정수(Jung Soo Kim)ㆍ이희관(Heui-Kwan Lee). (1992).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피부염 발생 정도 및 관련 인자들의 분석.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0 (1), 16-22

MLA

이선영(Sun Young Lee)ㆍ권형철(Hyoung Cheol Kwon)ㆍ김정수(Jung Soo Kim)ㆍ이희관(Heui-Kwan Lee).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의 방사선 피부염 발생 정도 및 관련 인자들의 분석."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10.1(1992): 16-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