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tinguishing Aspects of Writing Contribution Essays on Pavilion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on Dynasty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안세현(Ahn, Se-hyun)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1輯, 143~17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누정기를 통시적으로 검토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후기 누정기가 지닌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였다. 특히 공간인식·자연관·서술방식의 측면에서 이전 시기 누정기와 변별되는 특징을 추출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조선후기 누정기에는 自樂을 위한 공간으로 누정을 인식하는 경향이 눈에 띠었는데, 전대에 비해 정치현실을 의식하는 경향이 약화되고, 성리학적 심성 수양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소소한 일상을 여유롭게 즐기는 양상이 강화되었다. 다음으로 여전히 성리학적 자연관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장자적·불교적 자연관이 이전 시기에 비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조선중기 이래 장자의 사유와 문체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17세기 후반 이후 불교에 친연성을 보이는 문인들이 증대된 데에 따른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술방식에서 전대의 수법을 계승하는 가운데 18세기 중·후반부터 유행한 小品文의 필치가 누정기의 서술방식에도 영향을 주어 기발한 착상과 간결한 문장, 참신한 비유 등을 보여주는 글들이 나타났다. 본고는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까지의 누정기를 대상으로 조선후기 누정기의 특징적 면모를 보여 주는 몇몇 글들을 표본적으로 제시하여 분석한 것이다. 19세기 중·후반까지를 포함한 조선후기 전체 누정기의 전개 양상은, 향후 한국 누정기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정리한 연구서의 발간을 통해 보완하도록 하겠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consider some distinguishing aspects of contribution essays on pavilion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 especially, focused on the view of nature, narrative style, and space recognition so as to discriminate from former period. As a result of this, I found out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people liked to regard pavilions as a space of personal satisfaction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means that political interests and compulsion from Confucianism were reduced gradually while people tried to enjoy their daily lif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interests. Second, the influence of Taoism and Buddhism had increased. As writers understand Taoism deeply than before, they could learn the literary style and way of thinking clearer. And they also tried to understand Buddhism. Third, short sketch which were in fashion affected to the writing style of contribution essays. So that novel idea, concise expression, and fresh allegory were established as a character of contribution essays on pavilions.
목차
Ⅰ. 누정기에 대한 문학적 접근 방향
Ⅱ. 自樂的공간으로서의 누정
Ⅲ. 장자적·불교적 자연관의 확대
Ⅳ. 小品的필치와 참신한 비유
Ⅴ. 남은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遊金剛錄」에 나타난 再思堂 李黿의 산수 인식과 그 정신사적 의미
- 朝鮮前期 園林文化의 한 局面
- 晦峰 河謙鎭의 『國性論』분석
- 조선후기 누정기의 특징적 면모
- 『천주실의』에 대한 문학적 접근
- 동아시아 海洋神仙문화의 성립과정과 그 경로
-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점필재 김종직 연구에 대한 반성적 전망
- 少陵家의 使行 經驗과 詩的 形象化
- 耳溪 洪良浩의 書論 小考
- 睡軒 權五福의 삶과 정신 지향
-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佔畢齋 金宗直에 대한 退溪 李滉의 評價
- 峿堂 李象秀의 『史記』 評述에 대하여
- 전근대 동아시아 敍事學의 지평과 한국 고전소설의 위상
- 18세기 文學觀의 변화와 ‘개인’과 ‘개체’의 발견(1)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