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소수민족 정책과 조선족 사회변화
이용수 1,098
- 영문명
- Ethnic Minority Policy in China and the Changes in Chaoxian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남종호(Jong-Ho Nam)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23집, 211~25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와 같은 조선족거주지역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엽부터 약 100년에 걸쳐 증국으로 유입되어온 한 (韓)민족에 의해서이다. 한반도와 근접한 지역에 월경 (越境) 민족인 조선족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분포특징은 중국에게 상당한 전략적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 문제는 중국의 안보문제와 연관될 수 있는 대단히 민감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현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의 중요내용은 한(漢)족 중심과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통일국가 내에서의 소수민족자치실시이다. 중국의 공산당영도 정치체제안에서 조선족 자치지역의 행정적인 장(長)은 조선족이 차지하더라도 그 지역의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는 공산당위원회의 당서기는 당연히 한(漢)족들로 임명하여 조선족의 정치적 권한을 통제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현 중국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소수민족우대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무민족 분포지역의 전략적이고 정치적인 중요성으로 인해 소수민족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치를 약화시키는 그 어떤 행위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체제의 권위에 대항할 때에는 그 어떠한 소수민족이라 할지라도 가혹한 탄압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통일된 다민족 국가라는 틀 안에서 소수민족정책을 실시하여 왔다. 중국은 조선족사회의 자치와 융화정책을 펴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중국으로의 동화를 그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영문 초록
Current Chaoxian minority residential district has been established substantially for a hundred years from the mid nineteen century by the Han tribe influxed from korea to China.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that Chaoxian minority population are concentrated in the border area to Korean peninsular, bears a considerable strategic importance to China. Therefore, the question of Chaoxian as a minority, could be very sensitive factor related to the national security of China. China has carried out minority policies within a frame work of a unified multi-ethnic nation. Although China establishes policies of autonomy and harmony toward Chaoxian minority society, its final goal aims its assimilation with China.
목차
Ⅰ. 序言
Ⅱ. 中國의 少數民族 政策
Ⅲ. 朝鮮族 社會 構成
Ⅳ. 朝鮮族 정체성과 향후 展望
Ⅴ. 結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東亞日報』 中國特派員 申彦俊(1904~1938)의 中國時局問題認識
- 조선족의 미래
- 중국 소수민족 정책과 조선족 사회변화
- Detente in the Early 70s and Improvement of North-South Korean Relations
- The Turkish Political Culture since 1923 to 1995
- 安重根의 ‘東洋平和論’과 伊藤博文의 ‘極東平和論’
-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항일여성운동, 1909~1920
- 러시아의 국가전략과 중앙아시아(1991~2004)
- 『宋史』 「王安石傳」의 譯註
- 러시아 문서보관소 사료로 본 소련의 대 북한 정책, 1945~47년
- 마셜플랜과 독일연방공화국의 사회.경제 체제의 정립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