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 개발 및 교사 지원에 관한 연구 조사
이용수 617
- 영문명
- Needs Assessment of Special Educators Regard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은혜(Eun Hye Park) 김정연(Jeong Yeon Kim) 김주혜(Joo Hy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0권 제1호, 97~1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완·대체 의사소통 교육은 아동의 장애가 점차 중도․중복화 되어가는 한국의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적 요구와 필요가 증가하는 분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전자의사소통도구를 국내 개발하지 못한 상태로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의사소통교육이 필요한 장애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의 하나인 의사소통도구의 개발과 이와 관련된 지원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교육의 필요도, 교육에 필요한 의사소통도구 특성에 대한 요구도, 의사소통교육을 위한 교사지원에 대한 요구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가 장애학생의 보완․대체 의사소통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수자료 및 도구 개발의 방향 설정에 대해 시사하는 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has become a valuable instructional strategy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AC intervention in Korea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ors' needs for AAC device development. Respondents were 272 special educators from various regions and different types of special school. The survey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feedback from related professionals. Results suggested a) the need for greater AAC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communication difficulties, b) the need for AAC supports for teachers in terms of knowledge, attitudes, and resources, and c) the strong need for domestic communication device development and produc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ors were discussed.
목차
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연구를 통한 '말늦은아동(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 분석
- '아동용 조음검사'의 개발
-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 개발 및 교사 지원에 관한 연구 조사
- 학령기 아동의 학교상황 어휘 연구
- 일반학급내 학습장애와 학습부진 아동을 위한 교육적 지원 현황
- 낱말간 음운적 유사성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빠른 연결(fast-mapping) 수행 전략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의 복지관 제공실태 및 장애아 부모욕구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낱말 의미구조화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