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광고매체유형, 브랜드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비교연구

이용수  969

영문명
Compareson of Advertising Effect on Appeal Types, Advertising Channels, Brand Types of Cosmetics -Focused on Magazines and Internet Ad.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승희(Lee, Seung-Hee) 김영자(Kim, Young-Ja) 조세나(Cho Se-Na)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1집 4권,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장품 광고의 매체유형, 소구유형, 브랜드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338명의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매체유형, 소구유형, 브랜드에 따른 광고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광고매체와는 유의있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소구유형과 브랜드에 따른 광고태도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둘째, 매체유형, 소구유형, 브랜드에 따른 브랜드태도에 대한 결과 역시 광고매체유형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소구 유형과 브랜드 유형에 따른 브랜드태도는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매체유형, 소구유형, 브랜드유형에 따른 구매의도를 분석한 결과, 소구유형이 브랜드 유형에 따른 구매의도만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vertising effects of appeal types and marketing channels, focused on magazines and Internet ads. 338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ts suburb participated in a 2x2x2 experiment. For this study, four stimuli were developed through pre-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by appeal types in purchase intention. Especially, emotional appeal type showed higher scores on purchase intention than reasonable appeal typ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ppeal type and brand type on Ad attitudes. Thir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ppeal type and brand type on brand attitudes. Finally, there was a main effect of appeal types on purchase int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ppeal type and brand type on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cosmetic advertising marketing strategies regarding appeal type, marketing channel, brand types would be suggested.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희(Lee, Seung-Hee),김영자(Kim, Young-Ja),조세나(Cho Se-Na). (2008).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광고매체유형, 브랜드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비교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1 (4), 1-16

MLA

이승희(Lee, Seung-Hee),김영자(Kim, Young-Ja),조세나(Cho Se-Na).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광고매체유형, 브랜드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비교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1.4(2008):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