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 주얼리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현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Fusion Phenomena in Modern Jewelry Design ( Focused on Since The Late 1990s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최승욱(Choi, Seung - Wook) 추원교(Choo, Won - Gyo)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1집 4권,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사회구조가 다원화, 다양화 형태로 변하면서 소비자의 감성을 중시하고 자기만족을지향하는 개성중심의 스타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개성이나 취미를 반영한 디자인의 주얼리들이 잇따라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중심에는 현재 사회 문화현상 중의 하나인 퓨전현상이 자리 잡고 있다. 퓨전은사회가 흘러가며 공유하는 유행이나 시대분위기에 따라 변하면서 뒤섞이는 나름대로의 시대성을띈 절충적인 문화현상이다. 퓨전현상은 현대사회에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며 인류역사 이래과거부터 끊임없이 시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변하면서 다르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과거와는 또 다른 사회적 특성을 배경으로 대두되고 있는 퓨전현상의 개념과 형성배경, 특성 등을 알아보고, 퓨전현상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디자인, 예술, 대중문화별로 조사하였으며, 현대 주얼리 디자인의 퓨전적 요소들을 4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이러한 사회문화 전반에 나타난 퓨전현상들과 현대 주얼리 디자인과의 상호 관계의 연구를 통해, 현대 주얼리의 다양하고 새로운 디자인적 요소의 창출과 미래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울 수 있으며, 동시에 퓨전문화를 이해하고 이질적인 문화를 조화롭게 공존시켜나가는보편문화의 추구와 국제적인 안목을 기를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society becomes pluralistic and diverse, styles have changed personality oriented thriving for self-satisfaction, and as this happens, jewelries with unique designs have appeared. In the center of this is what is called the Fusion Phenomena which is one of the social cultural phenomenons. Fusion is a compromising cultural effect that takes place with the flowing of trend and era that eventually mixes. However, such fusion phenomenon is not something that appeared all of a sudden, but has changed and reflected the era since the beginning of history.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cept of fusion phenomena and its background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it used to be in the past, analyzed the effect of fusion phenomena on design, art and social culture, and classified modern jewelry design into four fusion factors. Through the study of correlation such fusion phenomena has with modern jewelry design, insights of future trend were tried to be built as well as creating new design factors for modern jewelries, and at the same time, tried to establish a base for understanding fusion culture, thriving for a general culture that can co-exist with heterogeneous culture and a framework to grow international views.
목차
I.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누비 종류에 따른 특징 및 품목 고찰
- 평생교육기관 도자교육 프로그램 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 교육만족도 실태 분석
- 신라 허리띠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분석연구
-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소비자 감성에 관한 연구
- 조선나전의 변천과 일본에 미친 영향
- 닥나무를 이용한 천연비누 개발과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에 나타난 대중매체의 활용성
- 朝鮮時代尙州地域陶磁의 歷史的位置와 意義
- 현대 주얼리 디자인에 나타난 퓨전현상에 관한 연구
-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광고매체유형, 브랜드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비교연구
- 신공예산업분류체계에 의한 국내 공예사업체 기초현황 분석 연구
- 공공미술에서의 현대 섬유조형에 관한연구
- 경산 맥반석 분청사기 연구
- 버내큘라의 시각에서 접근한 라틴아메리카의 여성아티스트
- Furniture Artist 최병훈에 관한 연구
- 예술과 사회변동의 상관성 연구
- 패션브랜드 멀티채널 광고의 브랜드이미지 일치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韓國 傳統紙花에 관한 硏究 (14)
- 아르누보양식이 현대장신구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