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하 간도 한인 사회와 불교
이용수 98
- 영문명
- Korean Society and Buddhism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차차석(Cha, Chaseuk)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3輯, 223~25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시대 간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계의 활동이 전개되었다. 크게 보면 순수한 대민교화사업과 독립운동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1910년 이후 각 지역에 많은 사찰이 건립되어 운영되었지만 현재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또한당시의 시대상황이나 지역적 특성 등에 의해 그다지 활발하게지속성을 지니고 전개되었다고 볼 수 없다. 대표적인 활동가로소개한 두 분의 승려 역시 오랜 시간 간도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했지만 유관 기록이 많지 않아 관련자들의 증언이나 단편적인 기록 등을 종합해 복원하는데 만족하고 있다.독립운동을 한 승려와 불교도 역시 적지 않다. 직접 무장독립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후방에서 계몽, 선전, 지원 등의 사업에 헌신한 사람들도 있다. 압록강 연안의 안동(단동)현부터 도문, 연길 등 간도지역 전반에 걸쳐 이들이 활동한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많은 시간이 흐르고 기록이 연멸하여 정확한 당시의 사정을 알 수 없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의활동을 소개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오랜 기간 거주하며 활동했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구체적인 내역을 파악할 수 없는 난점들이 많았다. 이러한 것은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발굴해야할과제로 남겨두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지면에 소개하지 않은 많은 無名의 관계자들에게는 미안한 마음을 표하지 않을 수없다.일제시대 간도지방을 중심으로 조선인들이 전개했던 불교의양상에 대해서는 그간의 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했다. 그렇지국내의 정세 내지 간도지방의 경제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불교의 활동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중들과 호흡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일본인이나 중국인들 역시 조선인을 상대로 다양한 불교활동을 전개했다. 이들에대한 종합적인 추적과 세밀한 연구는 이후 필요한 작업 중의하나이다. 이제 이번 학술대회를 기회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aspects of Joseon people's Buddhist activities chiefly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tually, there used to be various Buddhist activities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ir major activity can be divided into two great ones: they are works for people's enlightenment and the independent movement. From 1910 to 1945, many Buddhist temples were built and managed in Gando province, but the recordings of their activities are not remained at present. Owing to the situations of that times or a regional trait, their activities didn't go well vigorously and constantly as well. Even though two chief monks who led Buddhist activities played an active part chiefly in Gando provinc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ir activities are few today. Hence, we can only try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as possible by collecting related persons' evidence or bits of recordings and informations and by arranging them properly There were not a few monks and Buddhists who took a part in the independent movement from Japan. While some people participated in the armed independent movement, others devoted themselves to a variety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a campaign for enlightenment, propaganda and support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etc. However, indeed, we can trace their activities throughout Gando province ranging from the Yalu River side to Domun, Yeongil, etc. Consequently, it is really regrettable that we can't find the exact situations of that times because of the passage of time and the gradual extinction of the recordings of their activities. We know that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while residing in Gando province, but we have a difficulty in tracing concrete facts of their activities. That's why we should make excavations and examine continual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Joseon people's Buddhist activities chiefly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ust have a pivotal influence on Korean Buddhist development. However, so far, there has been not deep study on them. But we can know that their Buddhist activities were spread in diverse asp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or the change of Gando's economic conditions. In brief, they were in harmony with the mass through variou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Japanese or Chinese people also developed their Buddhist activities against Joseon people. Therefore, more comprehensive and close researches on this fact will be a hereafter task. My presentation at this conference may be an opportunity for many research workers to begin to study on this topic with more
interests
목차
1. 서론
2. 일제하 간도 불교계의 현황과 활동
3. 일제하 간도지방과 불교계의 독립운동
4.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전쟁과 폭력 그리고 종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 나가르주나와 스피노자 - 사유의 극단, 초월론적 세계관의 극복
- 『불교』에 나타난 조종현의 학술과 개혁론 - 『대승기신론』강의와 강원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