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가 즉 불효’라는 유교의 비판에 대비한 붓다의 견해

이용수  510

영문명
The Buddha's possible responses to Confucian criticism on monks for their having no respect for their parents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안양규(An, Yanggyu)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33輯, 297~32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가 중국에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격심한 비판을 받아야 했던 부분이 바로 출가는 불효라는 것이었다. 출가는 불효라는 유교의 비판에 맞서 불교인들은 불교가 효를 가르치고 있다는 것을 다양한 방면으로 주장하였다. 효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전개되었던 유교와 불교의 논쟁은 최근까지 다양한 연구 결과물이 발표되었다. 특히 효와 중국불교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다수 존재한다. 본고에선 역사적으로 중국에서 발생하였던 효와 관련한 유교와 불교의 논쟁을 인도의 초기불교라는 가상의무대 위에 올려 살펴보고자 하였다. 효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을초기경전을 중심으로 유교의 효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중국의유교인들은 불교의 사문들은 출가하여 자손을 남기지 않으며,부모를 모시지 않고, 삭발하는 등 중국 전래의 미풍양속을 훼손한다고 비난하였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인도의 초기불교에서 바라보면 어떠한 대답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살펴보았다.효에 붓다의 가르침은 일체중생에 대한 자비와 연결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윤회를 통하여 일체중생이 나의 부모가될 수 있다. 이번 생애에 나를 낳아주고 길러주신 현생의 부모뿐만 아니라 과거 전생의 부모에 대한 효의 실천은 사실상 일체 중생에 대한 자비로 확대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Confucian ideals, filial piety (孝) is one of the virtues to be held above all else: a respect for the parents and ancestors. Filial piety is considered the first virtue in Chinese culture. When Buddhism in India was introduced to China, Buddhists faced Confucius criticisms on Buddhism for having no respect for parents. They disregarded Buddhism by criticising monks and nuns who left their parents. Buddhists had to defend themselves in many ways. A number of apocryphal texts were written that addressed the Buddhists' respect for his parents,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is article I try to show the early Buddhist view of Confucius criticism on monks and nuns leaving home. I reconstruct early Buddhists' possible answers to accusations made by Confucius followers. Based upon the Book of Filial Piety(孝經), one of the important texts about filial piety in Confucianism, they blamed Buddhism as the teachings of barbarians or animals that did not have any respect for their parents who took good care of their offsprings. The first accusation that monks refuse to produce male heirs not by marrying will be answered by the theory of samsara. In the immeasurable cycles of death and rebirth, every beings in this world might have parents-son relationship. The second accusation that monks destroys their body by shaving would be addressed by the Jataka story which speaks of the bodhisatta who sacrifices himself to save his parents. The third accusation that monks do not take care of parents by leaving home will be addressed by the Sama Jataka: in the text theson, who heard the bad news about his parents and wanted to return to lay life to support his parents, came and consulted the Buddha who told him that he could support his parents withalmsfood while being a monk. For Buddhists, Confucius filial piety was merely blind loyalty to one's parents. Buddhist filial piety was extended toloving-kindness(慈悲) for all the living sentient beings. For Buddhists, filial piety was a display of loving-kindness(慈悲) which was ideally applied in one's dealings with all elders, thus making it a general norm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While Confucius filial piety was usually reserved for one's own parents and grandparents, Buddhist filial piety goes beyond blood relations to include all the living beings in the world.

목차

1. 서언
2. 불교의 출가제도에 대한 유교의 비판
3. 유교의 효 사상에 대한 붓다의 입장
4.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양규(An, Yanggyu). (2010).‘출가 즉 불효’라는 유교의 비판에 대비한 붓다의 견해. 보조사상, 33 , 297-329

MLA

안양규(An, Yanggyu). "‘출가 즉 불효’라는 유교의 비판에 대비한 붓다의 견해." 보조사상, 33.(2010): 297-3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