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쉴러의 미학과 인간성의 미적인 교육
이용수 640
- 영문명
- Friedrich Schiller On Aesthetic Education of Human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임태평(Lim, Tae-Pye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40集, 151~1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 I shall try to analyze and consider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of hurmanity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rom his Ideas for Korean reality of education. Friedrich Schiller is a true eclectic: on
one side of his mind a Kantian, while on the other both classicist by training and intellectual sympathy, and a romanticists by literary affiliation. In a letter to Goethe, with reference to his position in Aesthetics and philosophy, Schiller had written: The poetic mind generally got the better of me when I ought to have hilosophized, and my philosophical spirit when I wanted to be a poet.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romantics put forwarded an alternative view of human nature. on the one hand, Rousseau took the view that power in the hands of the few will lead them to reinforce their position which itself results in tyranny; on the other, Schiller wrote of his Utopia as an aesthetic state , In 27th Letter, He argued, “In dem asthetischen Staate ist alles - auch das bienende Werkzeug - ein feier Burger, der mit dem edelsten gleich Rechte hat." Summing up:
1. Schiller'‘s Aesthetics and philosophy: 1) His Works and Philosophical Influences on Him; 2)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etters. 2. The Aesthetic Education of Humanity: 1)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Letters; 2) The Concept of Education as Bildung. 3. Humanity and Aesthetic Education: 1) Education of Human Perfection;
2) Aesthetic Education of Humanity. 4. 까le implica디005 of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for Korean Education: 1) Education as the Highest Go。이 2) Schiller’s Criticism against the Fatuous Intellectualism
목차
I. 서론
II. 쉴러의 미학의 철학
III. 최고의 선으로서 교육
IV. 인간성의 미적인 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