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Genetic History and Topographic Map of Moral Education: A Critical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박균섭(Park, Kyoon-Seop)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40集,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draw a picture of the genetic history and topographic map of moral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discuss the dynamic factors in moral education, we must reckon first with the conception: that all learning is in the learner, not in the teacher. In this paper, some misunderstandings relating to moral education is examined and the cultural cognition of moral character is analyzed critically. It is an unique idea that moral charaαer is constructed by subject matter ill school. We need philosophical perspeαives about moral education. Many people maintain that no logical connections can be made between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the areas of educational endeavor. Many of us assume that to build moral character through subject matter to be true and obvious without any clear idea of why. Thus, we may blindly accept many political and ideological recommendations without knowmg whether they are justified.
목차
Ⅰ. 머리말
Ⅱ. 도덕교육, 허상과 실상 사이의 불협화음
Ⅲ. 발생사: 도덕 교과 탄생의 외적 논거
Ⅳ. 지형도: 도덕도 윤리도 아닌 국민윤리
Ⅴ. 도덕교육을 위한 반론과 변론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