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osition for Measuring BMD of the Distal Radius and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l Radius and Lumba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한만석(Man Seok Han) 전민철(Chul Min Jeon) 김종진(Jong Jin Kim) 서선열(Seon Youl Seo) 김용균(Yong-Kyun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1호, 19~2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위요골의 회전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원위요골 골밀도와 요추 골밀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골밀도 측정시 정확한 측정 자세를 알아보고자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기형이나 외상력이
없는 20, 30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digital diagnostic IR-1100-150 ; Philips)로 촬영하였고 남
성 21명을 DXA(QDR 4500W ; HOLOGIC, USA)로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로 수행하였다. 첫째,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로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3, 6, 9도에서 촬영하였고 둘째, 요추 및 전완부(Forearm)의 골밀도를 21명을 대상으로 DXA 장비를 이용해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5, 10도에서 측정하였고 통계 프로그램 SPSS 12.0v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R로 촬영한 1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82%(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도였다. 외회전 6도와 중립위(0도)에서도 1명(9%)씩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5.1도였다. DXA로 측정한 2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43%(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2도였다. 외회전은 24%(n = 5)이고 평균 외회전 각은 6도이며 중립위(0도)은 33%(n = 7)로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4.1도였다. 요추와 원위요골의 상관 계수는 r = 0.30, p = 0.18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요추의 골밀도가 원위요골의 골밀도를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위요골 골밀도의 평가는 원위요골에서 측정해야 한다. 전완부 골밀도 측정시 중립위는 원위요골이 외회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최저 골밀도의 회전각에서 일정하게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립위 보다 내회전이 필요하며 내회전 각은 약 5도가 추천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distal radius rotation
and the correlations of the lowest BMD measured by DXA at the lumba versus distal radius. The eleven males were projected distal radius by DR X-ray and the measurement of BMD by DXA of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orearm were performed on 21 males. The healthy 11 and 21 volunteers without any history of operations, anomalies, or trauma were enroll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wo methods. First, The DR X-ray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1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three, six and nine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he ROI was measured by the m-view program on the PACS monitor. Second, The DXA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2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five and ten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o evaluate the changes of BMD according to the rotation. A correlation of the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BMD that lumbar spine was performed, along with analysis of the data by SPSS 12.0v. The mean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eleven males DR X-ray measured 7° of pronation (82%, n = 9), 6° of supination and 0° of neutral of (9%, n = 1),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11 male was 5.1° of prona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twenty one males on DXA measured 7.2° of pronation (43%, n = 9), 7° of supination (24%, n = 5), and 0° of neutral (33%, n = 7),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21 people was 4.1° of pronation. The correlation of the analysis of lumba and distal radius were r = 3.0, p = 0.18.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ce. Because BMD of lumba was not coverd for BMD of the distal radius, with a neutral position, Pronation is needed for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the rotation angle measuring at the lowest BMD. the rotation angle about five degrees of pronation of the distal radius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마선 검출기를 위한 스펙트럼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방사선사의 조직 효과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 선형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 시 전용 콘과 정방형 소조사면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파노라마 촬영의 피폭선량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 경피적 골생검용 아크릴 바늘의 제작과 유용성
- SPECT용 고민감도 콜리메이터를 위한 반복적 영상재구성방법의 시스템 모델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