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 Model of Iterative Image Reconstruction for High Sensitivity Collimator in SPEC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배승빈(Seungbin Bae) 이학재(Hakjae Lee) 김용권(Youngkwon Kim) 김유현(You-Hyun Kim) 이기성(Kisung Lee) 정진훈(Jinhun Jou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1호, 31~3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SPECT 영상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콜리메이터는 저에너지 고해상도(low energy high resolution : LEHR) 콜리메이터이다. LEHR은 해상도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작은 구멍크기와 높은 차단막으로 인하여 높은 민감도 획득에 어려움이 있다. SPECT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LEHR보다 높은 민감도를 획득할 수 있는 콜리메이터를 사용하여 단위시간당 획득 카운트의 양을 늘림으로써 민감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LEHR보다 넓은 구멍을 가진 콜리메이터를 사용할 경우 고민감도 획득과 함께 발생하는 해상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반복적 영상재구성에 적용함으로써 저하된 해상도를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으로는 시스템 모델에서 흔히 사용되는 평행빔 기반의 검출 확률계산 방식 대신 고민감도 콜리메이터 사용 시에 발생하는 퍼짐현상을 팬빔으로 모델링 하였다. 또한 검출확률에 대한 가중치를 거리에 대한 함수로 정의하여 팬빔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시뮬레이션으로 생성된 사이노그램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이 평행빔 모델에 비해 동일 카운트에서 유사한 해상도를 달성하면서 촬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동일 촬영시간에서는 해상도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부각되고 있는 반도체 기반 픽셀방식 검출기를 위한 픽셀형 콜리메이터의 해상도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Low energy high resolution (LEHR) collimator is the most widely used collimator in SPECT imaging. LEHR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image resolution but has a difficulty in acquiring high sensitivity due to the narrow hole size and long septa height. Throughput in SPEC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counts per second with the use of high sensitivity collim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model in iterative image reconstruction to recover the resolution degradation caused by high sensitivity collimators with bigger hole size. We used fan-beam model instead of parallel-beam model for calculation of detection probabilities to accurately model the high sensitivity collimator with wider holes. In addition the weight factors were calculated and applied onto the probabilities as a function of incident angle of incoming photons and distance
from source to the collimator surface. The proposed system model resulted in the equivalent performance with the same counts (i.e. in shortened acquisition time) and improved image quality in the same acquisition time.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resolution improvement of pixel collimator of next generation solid state detector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마선 검출기를 위한 스펙트럼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방사선사의 조직 효과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 선형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 시 전용 콘과 정방형 소조사면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파노라마 촬영의 피폭선량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 경피적 골생검용 아크릴 바늘의 제작과 유용성
- SPECT용 고민감도 콜리메이터를 위한 반복적 영상재구성방법의 시스템 모델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