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Acrylic Needle for Percutaneous Bone Biops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태형(Tae-Hyung Kim) 신명진(Myung Jin Shin) 신지훈(Ji Hoon Shin) 임진오(Jin-Oh Lim) 류지연(Ji-Yeon Ryu) 오제선(Jae-Seon Oh) 우철웅(Chul-Woong Woo) 남증희(Jeung Hee Na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1호, 25~2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호박을 대상으로 새로 개발된 골생검용 바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하였으며, 골생검용 바늘은10 mm 직경의 아크릴 재료를 사용하여 내부가공을 달리 하여 3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임상에서 사용되는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재현하여(Conventional type, Ct) 실험군과 비교하였다. Type a(Ta)는 바늘의 원위부 1cm 부분에 내부가공을 하였고, Type b(Tb)는 원위부로부터 동일 길이까지 점점 가늘게 제작하였고, Type c(Tc)는 내부에 동일 길이로 나사산을 제작하였다. 호박 표면으로부터 10 mm되는 부분까지의 생검 채취를 목적으로 20회를 시행하였으며, 시술 성공률, 채취된 표본의 길이 등을 측정하여 가장 적절한 생검용 바늘의 구조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생검술의 성공률은 각각 Ct는 55%, Ta는 80%, Tb는 90%, Tc는 100%이었으며, 생검된 표본의 양은 Ct는 5.6±1.1 mm, Ta는 5.9±0.87 mm, Tb는 3.9± 0.77 mm, Tc는 9.4±0.54 mm이었다. 그룹별 통계적 유의성은 Ct와 Ta(p = 0.28)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 의미를 가졌다(p < 0.05). 따라서 새로 개발된 골생검용 바늘은 생검술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되며, 그중 내부의 나선 가공이 된 Tc형의 바늘이 골 생검에 가장 적절한 구조라 예상된다.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newly designed percutaneous bone biopsy needle for pumpkin's specimen
collection. We manufactured three types of biopsy needle with different internal processing which were made of 10 mm-diameter acrylic material. We made the conventional type (Ct) similar to the clinical type then compared
the test group. The type a (Ta) made 1 cm-length internal processing from the distal, type b (Tb) made taper, and type c (Tc) made internal processing like spiral configuration. We performed 20 times biopsy to get an 10 mm length specimen from pumpkin's surface and evaluated the success rate of the biopsy, length of the specimen, and determine internal processing type of the most suitable biopsy needle (ANOVA test). Success rates of Ct, Ta, Tb, and Tc were 55%, 80%, 90%, and 100%, respectively. The lengths of the specimen of Ct, Ta, Tb, and Tc were 5.6±1.1 mm, 5.9±0.87 mm, 3.9±0.77 mm, and 9.4±0.54 mm, respectively. Al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except the group between Ct and Ta (p = 0.28). Newly designed bone biopsy needle seems to be useful for obtaining enough specimen. Tc may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typ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마선 검출기를 위한 스펙트럼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방사선사의 조직 효과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 선형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 시 전용 콘과 정방형 소조사면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파노라마 촬영의 피폭선량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 경피적 골생검용 아크릴 바늘의 제작과 유용성
- SPECT용 고민감도 콜리메이터를 위한 반복적 영상재구성방법의 시스템 모델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