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sed Drug-Eluting Stent : Case on MDCT Calcium-Scoring Implementation Patien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 장성주(Seong-Joo Jang) 장영일(Young-Ill J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1호, 37~4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에 관한 독립적 인자를 확인하고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가 재협착 발생의 예측인자로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MDCT상 관상동맥 협착이 발견되어 약물 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 1,131명 중 추적검사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되었던 178명(남자 159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61.7, 연령분포 51~71세), 190개소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협착 여부에 따라 두 군(비협착군 133병변, 재협착군 57병변)으로 나누어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진단명은 진구성 심근경색이 비협착군 3예(2.3%), 재협착군 5예(8.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40),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안정 협심증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에서 병변 혈관의 위치는 재협착군에서 좌주간지 병변이 더 많았다(0.8% vs. 5.3%, p = 0.047). 스텐트 직경은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으며(3.3±0.4 mm vs. 3.1±0.3 mm, p = 0.004), 스텐트 길이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상 혈관의 초기 협착 정도는 재협착군에서 더 심했으며(86.1±11.4% vs. 91.5±9.2%, p = 0.001), 복잡 병변(B2/C형)은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령은 재협착군에서 더 높았고(60.2±9.9세 vs. 65.8±9.0세, p = 0.0001), 흡연력과 고지혈증은 비협착군에서(42.1% vs. 19.3%, p = 0.003,
23.3% vs. 8.8%, p = 0.019), 그리고 당뇨병은 재협착군에서 많았다(21.8% vs. 52.6%, p = 0.0001).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MDCT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는 비협착군 371.2±500.8, 재협착군 389.3±458.3로 차이가 없었고, 목표혈관과 좌주간지, 좌전하행지, 좌회선지 및 우관상동맥 각각의 calcium score 역시 양군 간 차이가 없었다.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좌주간지병변(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남성(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당뇨병의 존재(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가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이었다. 따라서 관상동맥 협착에 대해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에서 스텐트 내 재협착의 발생은 좌주간지병변, 남성, 당뇨병의 존재와 관련이 있었으나,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는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써 기능은 없었다.
영문 초록
We sought to confirm an independent factor about in-stent restenosis (ISR)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drug-eluting stent (DES) and know a possibility as a predictor of measure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by MDCT. A total of 178 patients (159 men, 61.7±10.0 years of age) with 190 coronary artery les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ut of 1,131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ith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stenosis on MDC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2006 and May 2009. All les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the presence of ISR : group I (re ISR,
N = 57) and group II (no ISR, N = 133). Compared to group II, group I was more likely to be older (65.8±9.0 vs. 60.2±9.9 years, p = 0.0001), diabetic (21.8% vs. 52.6%, p = 0.0001), have old myocardial infarction (8.8% vs. 2.3%, p = 0.040), left main stem disease (5.3% vs. 0.8%, p = 0.047), and smaller stent size (3.1±0.3 mm vs. 3.3±0.4 mm, p = 0.004). Group II was more likely to be smokers (19.3% vs. 42.1%, p = 0.003), have dyslipidemia (8.8% vs. 23.3%, p = 0.019).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esion complexity, and stent lengt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CAC score was 389.3±458.3 in group I and 371.2±500.8 in group II (p = 0.185).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CAC score in the culprit vessel, left main stem,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eft main stem disease (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male sex (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SR after DE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on MDCT, ISR was associated with left main stem disease, male sex,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However, CAC score by MDCT was not a predictor of ISR in this study pop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마선 검출기를 위한 스펙트럼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방사선사의 조직 효과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 선형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 시 전용 콘과 정방형 소조사면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파노라마 촬영의 피폭선량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 경피적 골생검용 아크릴 바늘의 제작과 유용성
- SPECT용 고민감도 콜리메이터를 위한 반복적 영상재구성방법의 시스템 모델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