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Usefulness of SPAIR and STIR Fast SE T2-weighted 3T Magnetic Resonance Imaging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이후민(Hoo-Min Lee) 윤준(Joon Yoon) 여영복(Young-Bok Ye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3권 제1호, 45~5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T2고속스핀에코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지방조직 소거기법인 SPAIR와 STIR기법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SPAIR와 STI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뇌의 축방향 영상(20개), 요추의 시상단면영상(20개), 고관절의 관상단면영상(17개), 무릎관절의 축방향 영상(25개)을 획득하였다. 검사부위별로 지방억제기법의 지방소거능력과 화
질을 파악하기위해 지방조직의 신호강도와 불균일성을 측정하였다. 지방조직에서 불균일치는 측정된 지방 신호의 평균치(mean)에 대한 표준편차(SD)로서 그 산출은 SD/mean으로 계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뇌 검사는 SPAIR가 STIR보다 지방억제능력과 화질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둘째, 요추, 고관절, 무릎관절 검사는 지방의 신호억제능력은 STIR가 우수하고, 화질면에서는 SPAIR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SPAIR (Spectral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and
STIR (Short TI Inversion Recovery) to evaluate the fat tissues precisely. The images of brain axial (n = 20),
lumber spine sagittal (n = 20), hip joint coronal (n = 17) and knee joint (n = 25) were obtained by turbo spin
echo T2 weighted method on 3T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signal intensity (SI) values were measured
using region of interest in fat, muscle tissue, and background noise. The inhomogeneity values were measur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SD) value divided by the mean values. SD signifies the amount of error
which is similar to the imaging heterogeneity. In brain axial images, the SPAIR showed more superior SI
and inhomogeneity results than the STIR. In spine, hip and knee images, STIR showed more excellent SI
results, but poor inhomogeneity than the SPAIR.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마선 검출기를 위한 스펙트럼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 3T 고속스핀에코 T2강조영상에서 지방소거 반전회복기법의 유용성 연구
-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방사선사의 조직 효과성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 선형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뇌정위 방사선 수술 시 전용 콘과 정방형 소조사면의 선량 특성에 관한 고찰
-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파노라마 촬영의 피폭선량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
- 경피적 골생검용 아크릴 바늘의 제작과 유용성
- SPECT용 고민감도 콜리메이터를 위한 반복적 영상재구성방법의 시스템 모델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