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POLITICAL PARTIES-RELATED CONT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WITH AN EMPHASIS ON THE FOURTH AND SEVENTH CURRICULUMS-BASED TEXTBOOKS OF SOCIAL & POLITICAL IN MIDDLE AND HIGH SCHOOL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혜림(Kim Hye-L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3집, 99~12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당관련 서술내용이 민주화 이전과 이후의 교과서에서 그리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객관적인 사고나 인식의 틀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정당정치를 일상의 삶과는 거리가 있는 거시적인 사회갈등으로 여기게 되어 장차 정치에 무관심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당정치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결과 제4차 교과서와 비교해 볼 때, 제7차 교과서에서는 ‘정당’관련 서술내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제7차 중학교 교과서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당’관련 서술내용이 중학교 교과서의 내용보다 체계적으로 구성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와 제7차 교과서간의 정당관련 서술내용이 비중의 차이만 발견되고 관점의 차이가 없다는 것은 실제 사회의 변화를 교과서에서 제대로 다루고 있지 못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내용을 담은 교과서로 양적인 차이가 아닌 질적인 차이로 수준 높은 교과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현대 정당의 유형과 제도에 대한 객관적인 이론적 지식과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정당사는 권위주의적 일당우위 내지는 패권적 정당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한국의 정당정치가 파행적 과정을 반복해오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교과서가 옳고 그름을 판단 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지금까지 다루지 않았던 정당의 유형에 대한 내용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폭넓은 이해와 올바른 판단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중학교 교과서보다 유권자와 정당 간 관계, 현대정당의 문제점 등 정당정치과정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me differences of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 before and after the democrati- zation of Korea in terms of describing political parties. If the teenagers of this country didn't receive an adequate education as to the politics of political parties, it could be quite a big problem for its future democracy; if they think of the politics of political parties as a macroscopic form of social conflicts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own life, they might become indifferent to the politics eventually when they grow up.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ir school textbooks, among others, since they are the basic material and the most important tool for learning. In this study which is compared to the fourth and the seventh curriculum-based textbooks, there have been some affirmative changes in the seventh curriculum about political parties. But, compared to the seventh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textbooks in high school are shown that they are composed less systematic than the textbooks in middle school regarding contents of politics partie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here isn't a difference of standpoint but a only importance, no matter how much is described as to the matter concerning the political parties. This is because the textbooks fail to deal with actual changes of the society. It is thu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textbooks that contain qualitatively upgraded material rather than what is merely quantitatively improved. .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theore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to the type and system of political parties. The history of political parties shows that only one party gained overall supremacy or sustained dominating power in Korea and that its politics repeats the same old style of political turmoil process. And the current textbooks of political science fail to provide students with some standards in terms of how to judge the particular situation of Korean politics; it is thus necessary to teach them as to the types of political parties, which were never dealt with previously.
Thirdly, to arrange both wide-understanding and right judgement- criterion, It is necessary for high school textbooks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and political parties and the problems of modern political parties at a more in-depth level.
목차
국문초록
Ⅰ. 서 언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제4차, 제7차 사회과 교과서 분석대상과 분석준거
Ⅳ. 정당관련 서술내용 분석의 주요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