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tuation and Task in Contemporar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철호(Kim Cheol Ho)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3집, 5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행 7차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개정교육과정(2007년 고시)에 담긴 환경윤리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개념적 혼란과 이론적 토대가 모호함을 발견하였다. 이들 문제점들은 개정교육과정에서 일정 부분 보완되었지만, 개정교육과정 또한 여전히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중심주의라는 양립하기 어려운 개념을 조화롭게 풀어내야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 그 중에서도 퇴계의 천명도설을 절충의 성공 사례로 검토하였다. 퇴계의 성리학은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이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 생태중심적 방향을 견지하되, 동시에 인간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책임 또한 강조하는 온건한 인문적 생태주의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been done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task of futur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Current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has two problems of conceptual confusion and theoritical vagueness. These problems was complemented in the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issued in 2007) in part. But we still have the task to harmoniz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ecocentrism which is difficult to make compatible. I present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 Neo-confucianism as a successful harmonization. His theory shows that our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have to head for humanitarian ecocentrism.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환경윤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Ⅲ. 환경윤리교육의 과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