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옛이야기 내용 분석

이용수  358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ontents about the Fairy Stories Introduced by an Picture Books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지영(Lee, Ji Young) 이방실(Lee, Bang Sil)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0집, 45~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무엇을 가르치기 위한 수단으로 문학을 사용하는 경향이 부각되면서 옛이야기 보다는 생활주제에 맞는 창작동화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다. 이처럼 그림책을 읽어 주면서 언어발달이나 수․과학개념, 사회적 능력, 도덕성 등을 키우려고 하는 요즘의 유아교육현장에서는 옛이야기의 잠재된 가치가 분명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수 백 년 동안 내려온 옛이야기가 갖는 소중한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해서는 현재 그것이 어떻게 변형되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대표되는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정신분석학적 가치가 출판사별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대중적인 옛이야기 그림책에서 간과되고 있는 바람직한 옛이야기의 정신분석학적 가치를 재인식해보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lies in review of difference in psychoanalytic values for widely known fairy tales which were “Brought out by different picture book publishers. With this, psychoanalytic values passed over will be recognized" in popular fairy tales as picture books. This could lead to taking a chance to find practical use in educational part. The questions of this study included ; 1. The status of psychoanalytic values for fairy tales picture book in each publisher 1-1. The status of “Fantasy differentiated from the actual" 1-2. The status of “Expression of unconscious desire" 1-3. The status of “Antagonism between good and evil" 1-4. The status of “Happy ending" The result of study investigated psychoanalytic values in 15 contents for 5 fairly tales books.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analyses and question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psychoanalytic values were lost or changed in widely known illustrated old tale books." So the effort will be required to recognize an importance of value as well as modernization of story without injury original psychoanalytic value in fairy tales picture books. “Second, illustrated book was not appropriate as a medium to present contents of old tales which contained" “Group unconsciousness. Therefore, it should be fully reflected during processing to illustrated book." “After this, an orally narrated fairy tale will be recommend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Third, it should be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old tales and created tales. So teacher makes utmost" efforts to keep psychoanalytic value in a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Lee, Ji Young),이방실(Lee, Bang Sil). (2006).그림책에 나타난 옛이야기 내용 분석. 교육연구, 40 , 45-75

MLA

이지영(Lee, Ji Young),이방실(Lee, Bang Sil). "그림책에 나타난 옛이야기 내용 분석." 교육연구, 40.(2006): 45-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